북한은 신년 공동사설에 이어 5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ㆍ정당ㆍ단체 연합성명’을 통해 “당국 사이의 회담을 무조건 조속히 개최할 것”을 주장했다.
한ㆍ미 양국이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한을 계기로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남북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 하자마자 북측이 곧바로 진전된 내용으로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는 지난해 천안함 침몰 사건에 이어 연평도 포격도발로 이어지는 정치ㆍ군사적 충돌을 겪으며 전쟁위기 국면까지 치달았던 남북관계가 연말부터 주고받기 식의 '대화를 통한 해법'을 강조하는 분위기로 급선회하고 있는 최근의 흐름이 점차 구체화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남북대화가 성사될 경우 현 정부들어 계속됐던 양측의 대립구도가 비로소 해소되는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남북의 잇단 대화재개 목소리는 자발적인 의사보다는 미국과 중국 등 한반도 정세의 주도권을 쥔 관련국들의 입김에 의해 이뤄지는 형국이어서 기대수준을 높이기 어렵다는 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더욱이 정부가 북한의 대화요구에 선결조건을 제시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도 섣부른 기대를 갖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6일 북한이 당국자 사이의 회담을 요구한 것에 대해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포격도발에 대한 북측의 책임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핵 폐기에 대한 합의를 이행하는 행동이 있어야 한다"면서 북측의 진정성을 강조했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연평도 포격이나 천안함 폭침 사건도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 긴장완화에 있어서 우리 국민과 국제사회가 책임있는 태도라고 볼수 있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천안함 침몰 직후 북한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 등을 요구했었다. 그러나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부터는 두 사건에 대해 직접적인 사과보다는 진정성과 책임성을 강조해왔다.
대화재개를 요구하는 남북의 속내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도 걸림돌이다. 북측은 북미대화와 6자회담을 위한 목적으로 남북대화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우리 정부는 북한 핵문제를 양측의 대화 테이블에 올려놓고 해결함으로써 주도권을 쥐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
한편, 한반도 주변국들이 6자회담 재개 국면을 구체화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남북이 어떤 형태로든 대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북측의 속내를 좀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공식 채널을 동원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