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해운항만 동아시아 해상물류시장 주도에 포커스

2011-01-06 11:35
  • 글자크기 설정

공적개발원조 통해 자원확보·해외진출 기회 확대<br/>해운업 단순 운송서 지시기반 서비스산업으로 전환


(아주경제 김영배 기자) 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중 눈길을 끄는 것 가운데 하나가 동아시아 경제 부상에 따른 해운·항만산업의 선진화 방안이다.

정부는 한국-일본-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경제권이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세계 해운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내부적으로는 해운·항만 물류기업 육성 등 선진화 작업도 꾸준히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동아시아 각국의 무역과 물류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데이터베이스(DB)화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선사의 운임정보를 비롯한 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최신화해 시황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해상 물류네트워킹을 구축, 동아시아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아세안, 아프리카 등에 개발자금을 지원해 항만개발을 추진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지지와 자원확보,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기회를 늘려나간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해외항만 투자협력 기본전략’을 수립해 중점 대상국가 선정, 추진절차 등 체계적 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 틀을 조만간 마련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특성화 방안도 마련된다. UPS, DHL 등이 독특한 IT 솔루션 기법 등을 개발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것 처럼 사업의 제안·관리능력 및 IT 솔루션 개발에 핵심역량 강화키로 했다.

또 해운산업을 하역, 운송 등 제한된 업종에서 금융·컨설팅·이벤트업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업 분야를 확대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글로벌 환경 변화에 맞춰 해운업의 새로운 패러다임도 만들어 나가게 된다. 소유-운영(Owner-Operator) 통합체제를 분리체제로 전환하고 대형 운영자(Operator) 즉, 전문경영인을 육성하게 된다.

아울러 해운산업을 서비스 중심의 지식산업으로 탈바꿈시켜 운송에 의한 부가가치 창출 한계를 극복하고, 지식기반의 해사관련 서비스 판매와 활동으로 부가가치를 높여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운중개업, 해운대리점, 선박관리업, 보험 등 해운관련 지식산업과 전문인력도 적극 육성키로 했다.

선박금융 선진화를 위해 전문기관도 설립된다. 분산돼 있는 선박관련 금융기관을 선박금융과 보증기능을 연계하는 선박금융 전문기관으로 통합 추진하는 방식이다. 현재 선박금융 업무는 금융위윈회(산업은행), 기획재정부(수출입은행), 지식경제부(수출보험공사), 국토해양부(선박펀드) 등으로 분산돼 있다.

투자자 모집과 선원·선박 관리를 전담할 선박운용회사의 자회사 설립을 허용해 자금운용 경쟁력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물류기업들의 관련 분야 동반 진출과 선점 투자 유도를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광업진흥공사, 석탄공사, 농촌공사)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도 발족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