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등 녹색 보호주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한국 기업들은 아직 이에 대한 개념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미국은 '포괄적 기후변화법안'에 오는 2020년부터 탄소관세 부과규정을 포함시킬 예정이다.
유럽연합(EU)도 오는 2010년이면 에너지 효율이 낮은 가전제품에 대한 판매를 금지한다.
이처럼 세계 주요 국가들의 녹색보호주의는 점차 강화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아직 제자리 걸음이다.
최근 환경부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기업들 중에서 지난해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겨우 6.0%에 불과했다.
또한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유럽연합(EU) 27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평균 3.2% 감소한 반면 한국은 오히려 103.3%가 증가해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처럼 국내 산업계의 현실은 선진국들이 나서서 다양한 제재수단을 동원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 분위기를 조성하고 나서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다.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난 2005년 배출량보다 4~8%까지 증가한 수준으로 억제한다는 발표를 했지만 이를 이행하려는 우리 기업들의 움직임은 잘 느껴지지 않는다.
일부 기업들은 오히려 온실가스 감축안 이행에 따른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기업이 미래의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글로벌 기후변화 협약체제하에서 선진국의 녹색보호주의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등으로 탄소배출권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데 급급하기 보다는 기업의 환경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아주경제= 이미경 기자 esit917@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