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K푸드' 전폭지원...110조로 시장 확대
26일 중소벤처기업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주요 유통 대기업과 함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K푸드·뷰티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 60개사를 선정했다. 이중 식품 관련 기업은 신세계디에프와 이마트가 팝업스토어를 운영해 해외 매장 유통망 연계 등의 수출을 도울 예정이다.
국내 식품산업의 열기는 뜨겁다. 국내 전체 산업 종사자의 10% 이상이 근무하는 등 국가 경제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식품산업을 글로벌 성장산업으로 육성해 오는 2027년까지 시장 규모를 110조원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식품산업에 혁신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미래 신(新)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 식품 수출의 상승세는 가파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농식품 수출 누적액(잠정)은 올해 11월말 기준 90억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보다 8.1% 증가했다. 전년 수출액은 83억7000만 달러였다.
'트럼프 2기' 출범 암초...전문가 "수출만이 능사 아니다"
K푸드가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수출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자국 산업 보호를 앞세운 '트럼프 정부 2기 출범'이라는 암초를 만났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공약인 10~20% 보편관세를 도입할 경우 '보호무역 시즌2'가 실현된다. 원·부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식품업계 특성상 '강달러' 기조까지 악재로 떠올라 미국 정책 동향을 예의 주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미국 수출액은 14억4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수출만이 능사가 아님을 분명히 하며 정부 지원 외 다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정부 지원도 결국 국민의 세금으로 이뤄지기 대문에 관세 문제를 피하기 위해선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게 필요하다"며 "식품공장의 경우 건설비용이 크지 않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선 미국 내 공장을 짓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이어 "미국 뿐만 아니라 그 외 인건비가 저렴한 나라에서 생산 시설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허경옥 성신여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비자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면서 "고환율 시대에 수입품 가격이 오른 상태에서 필수품도 아닌 해외제품 보다 국산품 소비를 고려하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