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해보험 인수합병(M&A)이 결국 올해를 넘길 전망이다. 지난해 도입한 새 국제회계기준이 아직 자리 잡지 못하면서 인수를 위한 정확한 회계 파악이 어려워진 탓이다. 특히 실적 악화에 따른 매각가 하락을 우려해 무·저해지 보험의 해지율 회계모형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23일 보험권에 따르면 롯데손해보험 매각은 연내 성사가 어렵게 됐다. 금융당국 방침으로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에 적용할 새 회계모형을 택해야 하는데, 아직 이를 결정하지 못해 회계상 변동성이 커서다. 인수하려는 입장에서는 향후 롯데손보 인수로 거둘 수 있는 순이익 등 회계적 부분에 대해 정확히 알기 힘든 상황이다.
그간 IFRS17 도입 이후 보험사의 이른바 ‘실적 부풀리기’ 논란이 일면서 이번 가이드라인이 마련됐다. 무·저해지 보험료를 완납하기 전까지 보험사가 해지율을 높게 잡아 보험계약마진(CSM)을 부풀렸다는 지적 때문이다. 해지율이 높을수록 보험사는 향후 계약자에게 돌려줘야 하는 보험금이 적어 순이익이 커진다.
문제는 원칙모형을 선택하면 롯데손보 M&A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원칙모형 적용 시 해지율이 떨어지며 실적 악화가 불가피하다. 특히 롯데손보는 올해 상반기 누적 전체 보장성 원수보험료(보험사가 계약자로부터 받은 보험료) 중 무·저해지 보험 비중이 36.14%로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 중 가장 크다.
그만큼 매각가가 낮아질 가능성이 더 큰 것이다. 이미 실적은 최근 들어 하락 추세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84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약 68% 감소했다. 보험 부문 손익이 크게 줄며 실적을 끌어내렸다. 보험손익은 같은 기간 4544억원에서 1132억원으로 75% 줄었다.
현재 최대주주 JKL파트너스는 롯데손보 기업가치로 2~3조원대를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시장에서는 1조원대를 적절한 매각가라고 판단한다.
예외모형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당국은 사실상 원칙모형 적용을 압박하고 있다. 예외모형을 선택한 보험사에는 필요할 시 대주주와 직접 면담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에 현재 대부분 보험사는 이미 원칙모형을 택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