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대목을 앞두고 식품·유통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소비 심리가 꽁꽁 언 상황에 탄핵 정국까지 겹쳐 내수 부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국내 정세 불안정에 널뛰는 환율, 기후플레이션발(發) 원재료 가격 급등도 변수다. 말 그대로 식품·유통업계가 3중고에 억눌린 모양새다.
문제는 고환율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만약 내년 새로운 정부가 꾸려진다면 그 때까지도 고환율 상황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어 "기업들도 환율 움직임을 면밀하게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탄핵 정국과 환율 급등에 끼인 식품업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국내 식품업계는 원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데다 달러로 원재료 값을 치르다 보니 환율이 오르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은 지난 3분기 사업보고서에서 환율이 10% 상승하면 세후 이익이 142억원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값을 비롯해 환율도 불안정하다 보니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가격 인상 요인을 부추기는 환경이 계속 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여기에 올해 초부터 식품업체들을 대상으로 가격 동결을 주문해 온 정부가 힘을 잃고 있어 업체들이 줄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업계는 주원료에 대해 2~6개월간 선계약을 맺어 물량을 이미 확보해 가격 인상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파악한다"고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SPC 던킨이 최근 초콜릿 도넛 가격을 올리는 등 프랜차이즈 업계로도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내든 상황.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보통 식당에서 사용하는 밀가루나 식용유 등이 수입산이다 보니 고환율에 먹거리 물가도 출렁일 수 있다"며 "당분간은 원자재 상승분을 감내하더라도 인상 압박이 심해진다면 가격 조정을 고려하는 업체들이 차차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