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청, 日서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등 보물 지정 예고

2024-10-31 09:38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후불도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한다고 31일 밝혔다.

    또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는 화면 하단의 화기(불화 하단에 제작 연대 등을 적은 것)를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 등 화승(회화 작업에 종사하는 승려)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 글자크기 설정

조선 후기 후불도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등 2건 국보 지정 예고

고려 나전칠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등 4건도 보물 지정 예고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사진국유청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사진=국유청]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후불도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한다고 31일 밝혔다.
 
또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는 화면 하단의 화기(불화 하단에 제작 연대 등을 적은 것)를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 등 화승(회화 작업에 종사하는 승려)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이 가운데 제작 책임자 격인 의겸을 붓의 신선인 ‘호선(毫仙)’이라는 특별한 호칭으로 기록하여 그의 뛰어난 기량을 짐작할 수 있다.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하였는데,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시키고 나머지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그려 상승감을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 불화의 색채를 유지하면서도 제자들의 얼굴 표현, 그리고 세부 문양에서는 조선 전기 불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는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조선 후기 후불도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불회도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불화로, 장대한 크기에 수많은 등장인물을 섬세하고 유려한 필치로 장중하게 그려냈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螺鈿菊唐草文箱)’는 2023년 국가유산청(전 문화재청)이 일본에서 환수한 유물로, 뚜껑과 몸체, 안쪽에 공간을 분리하는 속상자로 구성되어 있다. 침엽수 계통의 나무로 만든 백골 위에 천을 바르고 그 위에 골회(骨灰)를 입혀 자개를 붙인 다음 여러 번 옻칠하여 마감하는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 제작 방식인 목심저피법(木心紵皮法)으로 제작되었다.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총 770개의 국화넝쿨무늬를 배치했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사진국유청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사진=국유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