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 2년 연속 폐수 배출 제로…친환경 모범 사례로 주목

2024-06-04 14:2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로 가동 만 3년째를 맞은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수 재이용 시설'이 친환경 수처리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영풍은 지난해 동안 석포제련소에서 발생한 공정 사용수 88만6403㎥(8억8640만ℓ)를 전량 외부 배출 없이 폐수 재이용 시설로 처리해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연간 방류량 '0', 무방류를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이 305.6ℓ(2022년 기준 / 환경부 상수도 통계)인 점을 감안할 때 석포제련소에서 지난해 한 해 동안 폐수 재이용 시설로 처리해 공정에 재사용함으로써 절약한 취수량은 약 290만 명이 하루에 사용하는 물의 양과 맞먹는다.

  • 글자크기 설정
영풍 석포제련소폐수재이용시설 전경 사진영풍
영풍 석포제련소폐수재이용시설 전경 [사진=영풍]


올해로 가동 만 3년째를 맞은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수 재이용 시설'이 친환경 수처리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제련소 최초로 연간 폐수 배출량 '제로(Zero)'를 안정적으로 이어가면서다.
 
영풍은 지난해 동안 석포제련소에서 발생한 공정 사용수 88만6403㎥(8억8640만ℓ)를 전량 외부 배출 없이 폐수 재이용 시설로 처리해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연간 방류량 '0', 무방류를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이 305.6ℓ(2022년 기준 / 환경부 상수도 통계)인 점을 감안할 때 석포제련소에서 지난해 한 해 동안 폐수 재이용 시설로 처리해 공정에 재사용함으로써 절약한 취수량은 약 290만 명이 하루에 사용하는 물의 양과 맞먹는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2021년 5월 세계 제련소 최초로 'Z.L.D(Zero Liquid Discharge)'라는 이름의 폐수 재이용 시설을 도입했다.
 
이 시설은 ‘상압 증발 농축식’으로 제련 공정에서 발생한 폐수를 정수 처리한 다음 고온(100℃ 이상)으로 끓여 수증기를 포집하는 방식으로 깨끗한 물을 100% 회수해 공정에 재사용하는 시스템이다.
 
폐수 재이용 시설의 주요 설비는 정수 과정을 거친 공정 사용수를 끓여 수증기로 만드는 증발농축기(Evaporator)와 불순물을 고형화해서 처리하는 결정화기(Crystalizer)로 구성된다.
 
2021년 도입 당시 1차로 309억원을 들여 증발농축기 3대와 결정화기 1대를 설치했으며, 2023년 2차로 154억원을 들여 증발농축기 1대와 결정화기 1대를 각각 추가로 증설했다.
 
폐수 재이용 시설의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은 4000㎥로, 현재 하루 평균 2000~2500㎥의 공정 사용수를 이 시설로 처리해 전량 공정에 재이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환경 보호는 물론 낙동강 수자원 절약에 톡톡히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풍은 폐수 재이용 시설 외에도 낙동강 물 환경 보호를 위해 총 7,000억 원 규모의 종합 환경투자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또 자체 폐열 발전 시스템 및 ESS(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운영, 주민주도형 ‘오미산 풍력발전’ 사업에 제련소 소유 초고전압(154kV) 전력망 무상 공여 등 자체적인 탄소중립 활동을 전개해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있다.
 
영풍 관계자는 “세계 제련소 가운데 폐수 배출 제로를 달성한 것은 유례가 없는 일로 우리나라 산업 환경 발전에 한 획을 그은 사례로 평가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글로벌 친환경 제련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