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등 10개국·EU "북한 러시아에 무기이전 반대"

2024-05-31 20:1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미·일 등 10개국 외교장관과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31일 북한의 대러 무기 이전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각국이 최근 실시한 독자제재가 "북한과 러시아에 책임을 묻고, 북한 무기의 불법적 대러 이전에 관여한 개인과 단체에 대가를 치르게 하기 위한 조율된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4일 북·러 간 군수물자 운송 및 무기거래, 대북 정제유 반입 등에 관여한 북한 개인 7명과 러시아 선박 2척을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 글자크기 설정

'북·러 군사협력 대응' 외교장관 공동성명

북한과 러시아 국기 사진연합뉴스
북한 국기(왼쪽)와 러시아 국기. [사진=연합뉴스]

한·미·일 등 10개국 외교장관과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31일 북한의 대러 무기 이전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외교장관들은 이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핵심 시설을 타격하는 데 (북한 무기를)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장기화시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북한과 러시아가 불법적 무기 이전을 중단하고, 북한이 모든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방식으로 포기하기 위한 구체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에는 한국·미국·일본·호주·캐나다·프랑스·독일·이탈리아·뉴질랜드·영국·EU의 외교수장이 참여했다. 이들은 각국이 최근 실시한 독자제재가 "북한과 러시아에 책임을 묻고, 북한 무기의 불법적 대러 이전에 관여한 개인과 단체에 대가를 치르게 하기 위한 조율된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4일 북·러 간 군수물자 운송 및 무기거래, 대북 정제유 반입 등에 관여한 북한 개인 7명과 러시아 선박 2척을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같은 날 일본 정부는 북·러 군사협력에 관여한 단체 11곳과 개인 1명에 대한 제재를 결정했다.

외교장관들은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북·러 간 협력이 심화되는 것을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임무 연장 결의안에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한 것을 규탄한다"며 "러시아는 북한에 관한 구속력 있고 유효한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정보와 지침을 모든 유엔 회원국들로부터 박탈하고자 했다"고 비판했다.

외교장관들은 "북한이 한반도에서 항구적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유일한 길인 외교에 복귀하라는 수많은 진지한 제안들에 호응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개의 댓글
0 / 300
  • ㅈ라도는북한용광로에팔려가24ㅅ칸지져주겨야
    0
    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ㅈㆍㄱㄴ라도는북한용광로에팔려가24ㅅ칸지져주겨야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