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석 당선자....4선 우상호에 "무식하면 용감"

2024-05-26 18:5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경기 안산갑)가 26일 '원내직 현역 의원 선출'을 주장한 우상호 의원을 향해 "무식하면 용감하지요", "구태정치질, 이젠 좀 지겹네요"라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이어 "20년이 흐른 지금은 또 다른 시대 정신에 따라 권리당원이 당내 원내대표, 당내 국회의장 후보를 뽑는데 당연히 권한을 가져야 한다"며 "그래야 당원이 주인이다. 그래야 민주당의 확대와 확장이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맛이 간 기득권, 맛이 간 586, 그 중 우상호가 시대 정신이 20년 전의 기준으로 멈춰 선 작자들이 민주당 전통 운운하며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후보는 국회의원의 몫이라고 우겨대며 또 내부총질을 하고 있다"며 "공부 좀 하면 좋겠다"고 비꼬았다.

  • 글자크기 설정

"원내대표·국회의장, 의원이 뽑자는 건 20년 전 기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초선 당선자 워크숍에서 양문석 당선인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초선 당선자 워크숍에서 양문석 당선인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경기 안산갑)가 26일 '원내직 현역 의원 선출'을 주장한 우상호 의원을 향해 "무식하면 용감하지요", "구태정치질, 이젠 좀 지겹네요"라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후보 선출에 당원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당내 의견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우 의원은 지난 23일 MBC라디오에서 국회의장 후보·원내대표 선출 과정에 당원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이 오랫동안 만든 선출 과정의 원칙"이라며 "부분적으로 어떤 선거에 몇 퍼센트를 더 반영한다는 식으로 해결할 게 아니라 상시로 당원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양 당선자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구태정치~맛이 간 우상호'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도도한 역사의 물줄기를 거슬러 오르면 '연어'가 아니고 '반역'"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원내총무(현 원내대표)나 국회의장 후보는 총재 시절에는 지명직이었다"며 "노무현 대통령 이후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후보는 국회의원 몫으로 선출직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년이 흐른 지금은 또 다른 시대 정신에 따라 권리당원이 당내 원내대표, 당내 국회의장 후보를 뽑는데 당연히 권한을 가져야 한다"며 "그래야 당원이 주인이다. 그래야 민주당의 확대와 확장이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맛이 간 기득권, 맛이 간 586, 그 중 우상호가 시대 정신이 20년 전의 기준으로 멈춰 선 작자들이 민주당 전통 운운하며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후보는 국회의원의 몫이라고 우겨대며 또 내부총질을 하고 있다"며 "공부 좀 하면 좋겠다"고 비꼬았다.

양 당선자는 과거 막말 이력으로 지난 총선 과정에서도 여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그는 2008년 한 인터넷 매체에 '이명박과 노무현은 유사 불량품'이란 제목의 글을 게재했고, 1년 전 다른 칼럼에선 "노무현 대통령이 친미 매국행위를 어떻게 했는지 길이길이 한국인들이 잊지 않게 '노무현 기념관'이 아닌 '노무현 매국질 기억관'을 짓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해 비판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