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세계 최초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연다

2024-05-24 17:3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청정수소로 만든 전기 입찰 시장이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열린다.

    온실가스 배출 수준이 '0.1㎏CO2e 이하'로 가장 낮은 1등급 청정수소를 사용하기로 한 사업자의 입찰 가능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다.

    정부는 청정수소 입찰 시장을 지속 확대해 2030년이 되면 청정수소 발전 시장 규모를 연간 13TWh(테라와트시. 1TWh=1,000GWh)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 글자크기 설정
그린수소 인프라 구축사업 조감도사진밀양시
그린수소 인프라 구축사업 조감도. [사진=밀양시]
청정수소로 만든 전기 입찰 시장이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열린다. 지난해 일반수소 발전시장이 생긴 후 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정부의 두 번째 스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재생에너지 전기를 활용해 만든 그린수소를 포함해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적은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청정수소를 발전 연료로 활용해 만들어진 전기를 전력 당국이 장기 계약을 바탕으로 고정가로 구매해 소비자들에게 공급하는 제도다.

이번에 처음 공고된 입찰 물량은 연간 6500GWh(기가와트시)로 계약 기간은 15년이다. 낙찰된 사업자는 준비 기간을 거쳐 2028년까지 청정수소 발전을 시작해야 한다.

입찰 제안서 접수 마감 후 최종 낙찰자는 발전 단가인 가격 지표와 4단계로 나눠지는 청정수소 활용 등급, 연료 도입의 안정성, 국내 산업·경제 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오는 12월께 선정된다.

한국은 수소 1㎏을 생산하는 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4㎏CO2e(이산화탄소환산량) 이하일 때 청정수소로 인정한다. 같은 청정수소라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순서부터 다시 1∼4단계로 세분한다.

수소는 일반적으로 생산방식에 따라 LNG 등을 화학적 방법으로 변형해 만드는 '그레이수소', 일반 수소지만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한 '블루수소',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해 수전해 방식으로 생산된 '그린수소', 무탄소 전원인 원전 전기로 수전해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핑크수소' 등으로 나뉜다. 통상 그린수소, 블루수소 등이 청정수소의 범주로 인정받는다.

정부는 이번 입찰 제도를 설계하면서 청정수소 등급별 배점 차이를 크게 뒀다. 온실가스 배출 수준이 '0.1㎏CO2e 이하'로 가장 낮은 1등급 청정수소를 사용하기로 한 사업자의 입찰 가능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다. 

정부는 청정수소 입찰 시장을 지속 확대해 2030년이 되면 청정수소 발전 시장 규모를 연간 13TWh(테라와트시. 1TWh=1,000GWh)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2030년 전체 발전량의 약 2% 수준이 될 전망이다. 13TWh는 지난 2022년 기준 대전시의 연간 전력 소비량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