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포항제철소 '1제강·선재공장' 폐쇄 검토...수익성 악화·노후 영향

2024-05-21 18: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이 가동 중단될 예정이다.

    지난 3월 취임한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경영 효율화 등을 강조한 만큼 노후 공장을 폐쇄해 그룹의 수익성을 제고한다는 전략으로도 분석된다.

    포항제철소 현장관계자는 "1제강공장 폐쇄 검토는 최근 넘쳐나는 중국산에 수요가 감소하면서 수익성까지 악화한 것이 원인"이라며 "2011년 한 차례 폐쇄를 결정했다가 다시 가동했는데, 더는 수익성 제고가 어렵다고 판단해 폐쇄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포스코 포항제철소 전경 사진포항제철소
포스코 포항제철소 전경 [사진=포항제철소]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이 가동 중단될 예정이다.
 
글로벌 경기침체 국면에서 중국이 저가 철강제품 수출을 늘리자 수요가 급감한 것이 원인으로 전해진다. 또 철강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더 이상 노후공정의 수익성 제고가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파악된다. 

21일 포스코 등에 따르면 포항제철소는 지난주 제철소 내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을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제강공정은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성분을 조정하는 제철소의 핵심 공정이다. 선재공정은 고로에서 생산된 슬래브를 제품화시키는 후공정에 해당한다. 특히 1제강공장은 포스코 설립 초기부터 가동을 시작한 공정으로 지난해 50주년을 맞았다.
 
1제강공장은 폐쇄하지만 공장 내에 위치한 700mm 두께의 슬래브를 생산할 수 있는 연주기 '포스엠씨(PosMC·POSCO Mega Caster)'의 가동은 유지할 방침이다. 
 
1제강공장에 근무하는 120여명의 직원과 1선재공장 내 직원들은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2, 3제강공장에 투입될 것이라는 게 현장관계자의 설명이다.
 
1제강공장이 포항제철소에서 차지하는 생산량은 5% 수준으로 공장 폐쇄와 함께 포항제철소의 조강생산량은 연간 약 17만t(톤)이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포스코가 이 같은 검토에 들어간 것은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의 공세가 거센 상황에서 노후공정의 수익성까지 하락해 더 이상의 유지는 불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은 주요국의 무역제재를 앞두고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해 저가의 철강재 밀어내기 수출을 하고 있다. 중국산 후판 가격은 국산과 비교해 t당 20만원가량 저렴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에 따라 국내 산업현장에서 중국산 철강재 수요는 지난해와 비교해 30% 가까이 증가했다.
 
포스코는 철강재 내수 물량의 약 60%를 책임지는데, 중국산 저가 공세에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기업 중 하나다. 지난 3월 취임한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경영 효율화 등을 강조한 만큼 노후 공장을 폐쇄해 그룹의 수익성을 제고한다는 전략으로도 분석된다.

포항제철소 현장관계자는 "1제강공장 폐쇄 검토는 최근 넘쳐나는 중국산에 수요가 감소하면서 수익성까지 악화한 것이 원인"이라며 "2011년 한 차례 폐쇄를 결정했다가 다시 가동했는데, 더는 수익성 제고가 어렵다고 판단해 폐쇄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