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되면? 韓증시 걱정·기대 교차… 기술패권 중시, 방산 비중 커져

2024-03-07 14:0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진행하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낙점됐다.

    한국투자증권은 "3월 '슈퍼 화요일(미 양당 대선 후보 확정을 위한 최소 대의원 수 70% 이상이 결정되는 날)' 결과가 대부분 공개되며 양 후보 정책 구체화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커졌다"며 "최종 대선 후보가 될 확률이 높은 바이든과 트럼프는 양당 내부에서도 의견 충돌이 여러 번 발생한 만큼, 정책이 구체화되는 단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B증권은 이미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의 당선을 예상"하고 있으며 그의 당선으로 '2차 무역전쟁 발발'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美연준 금리 인하 기대…AI·반도체·인터넷·헬스케어 긍정적"

'2차 무역戰' 우려… 인플레 고착화, 친환경·신재생 투심 악화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진행하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낙점됐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세계 패권국가 미국의 대통령 자리를 놓고 선거를 치를 전망이다. 경제·외교 등 주요 정책이 상반된 양측의 맞대결은 그 자체로 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7일 일각에서 조심스럽게 예측하는 트럼프의 최종 승리 시나리오를 놓고 본다면, 세계 기술 패권 중심 분야인 인공지능(AI)의 핵심 관련주 반도체와 국제정세 불안을 사업 기회로 삼는 방산주가 유망하다. 이들 종목이 강점을 띠는 한국 증시에도 일정한 호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자국 중심 제조 보호주의 무역 기조가 강해진다면 자동차와 이차전지를 비롯한 국내 수출주에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친환경, 기후위기 대응 분야 정책 수혜주의 잠재 성장 동력도 위축될 수 있다.

당장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3월 '슈퍼 화요일(미 양당 대선 후보 확정을 위한 최소 대의원 수 70% 이상이 결정되는 날)' 결과가 대부분 공개되며 양 후보 정책 구체화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커졌다"며 "최종 대선 후보가 될 확률이 높은 바이든과 트럼프는 양당 내부에서도 의견 충돌이 여러 번 발생한 만큼, 정책이 구체화되는 단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B증권은 이미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의 당선을 예상"하고 있으며 그의 당선으로 '2차 무역전쟁 발발'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신한투자증권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는 과거 재임기(2017~2021년) 무역으로 중국을 압박하고 감세와 각종 규제 철폐로 시장 친화적 정책을 강조했다. 이번에 다시 당선되면 제조업 가운데 현지에선 자동차, 정유, 석유화학 업종에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또 다른 그의 핵심 기조인 기업 법인세 감면에 대해 "소비자 수혜가 크지 않고, 리쇼어링 가속화는 최종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소비자 부담이 늘고 인플레이션 고착화 등 소득세 감면 효과를 상쇄, 가계 신용에 점진적 부담이 가해질 것"으로 봤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재선에 성공하면 트럼프 경제 정책 1순위는 물가 완화이며 연준 의장 임기 만료 이후 교체를 통해 저금리 기조 압박을 높일 것"이라며 "저물가, 저금리, 저세율 정책은 주식시장 입장에 긍정적"이라고 봤다.

미국 주식시장에선 무역 민감도가 낮은 금융, 필수소비재, 건설 업종과 '지정학적 불안'이 높을 때 수혜를 보는 방산주가 유망하다. 한국 증시에선 "AI 관련주인 반도체, 성장주에 우호적인 미 연준 금리 인하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인터넷·헬스케어 업종이 긍정적"이라고 했다.

반면, 의회 견제 없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키우는 쪽으로 밀어붙이는 외교 정책이 트럼프 당선 시 최대 리스크로 꼽힌다. 이는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중단, 나토 탈퇴, 미군 주둔국 방위비 증액 주장 등 우방과 적대국을 가리지 않고 나타날 수 있다. 각국 국방 지출 확대가 국내 방산 기업에는 호재다.

하지만 동시에 글로벌 연대 의식과 국가 간 협의가 필요한 기후위기 대응을 자국 이익보다 경시하는 트럼프의 성향상, 탄소배출 저감이나 신재생 에너지 관련 업종에 대한 투심은 나빠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