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K-로봇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민관합동으로 3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로봇 시장 규모를 20조원 규모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게 목표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방문규 산업부 장관 주재로 첨단로봇 산업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면서 성장잠재력이 높은 로봇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첨단 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첨단 로봇은 자동차, 조선 등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방위산업, 우주, 항공 등 신산업 분야와 서비스산업까지도 전방산업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산업이다.
우선 2030년까지 민관합동으로 3조원 이상을 투자해 기술, 인력, 기업 등 경쟁력을 강화한다. 감속기 등 5개 H/W기술과 자율조작 등 3개 S/W 기술 등 8대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중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미래차, 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첨단 로봇 산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을 1만5000명 이상 양성한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30개 이상 육성한다.
제조업, 물류, 복지, 안전 등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로봇을 2030년까지 100만대 이상 보급해 생산성 향상과 사고율 저감 등 로봇의 산업적, 사회적 기여도를 높일 계획이다. 로봇기업이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트렉레코드를 쌓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인증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해 기술 진보와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새롭게 갖춘다. 또한 개발된 로봇이 시장과 국민 눈높이에 맞게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2000억원을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구축한다.
방 장관은 "로봇산업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정책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첨단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봇제조기업, 부품기업, 지원기관 등 11개 기관이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기관은 공동 연구개발, 시장 창출, 표준화 등에 협력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