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당국자는 5일 취재진과 만나 "이날 기준 북한의 철수 완료 공관은 총 7개로 확인됐다"며 "북한의 전체 재외공관수는 53개에서 46개로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외교부가 확인한 철수 북한 공관은 기니, 네팔, 방글라데시, 세네갈, 스페인, 앙골라, 우간다 등 7개국이다.
외교부는 공관 철수 기준을 △해당국에 철수 의사 공식 통보 △인공기와 현판 제거 여부 △공관원 출국 여부 등 3가지로 판단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의 불법 자금 차단 노력이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과정에서 북한 재외공관 개편을 단행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공관이 줄어서 기존 공관에 겸임국 공관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아무래도 러시아와 중국하고 밀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 공관이나 총영사관 활동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동남아나 일부 서남아 지역에 기존에 있던 공관을 폐쇄하면서 그 역할과 기능이 흡수한 공관 체제로 나갈 수 있을 것 같다"면서도 "북한의 동향을 더 예의주시해야 한다. 아직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전했다.
북한은 그동안 외교공관을 통해 위폐나 가짜 담배와 술 등을 유통해서 돈을 벌었다. 또 일부 공관에서는 임대수익을 거두는 등 암암리에 활동해 왔다.
폐쇄 공관 중 유일한 유럽공관인 스페인은 지난 2017년 핵실험을 이유로 김혁철 북한대사를 외교상 기피 인물로 지정한 뒤 추방명령을 내렸다. 이후 북한 대사관은 대사없이 운영하면서 실질적으로 대사관 운영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 철수한다고 보도됐던 콩고민주공화국, 홍콩 등은 철수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친(親) 러시아 국가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공관을 신설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중미의 니카라과에 공관을 신설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다만, 니카라과는 미국의 제재를 받고 외교 고립상태에 있는 만큼 실제 개설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열린 21개국 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 회복은 한국에 달려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외교부는 "우리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러시아 내 우리 기업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 러시아 측과 필요한 소통을 계속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일각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한·러 관계 회복에 대해 언급한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평가도 있다. 러시아의 일반적인 대외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한국 외에 독일이나 다른 나라에도 비슷한 뉘앙스로 얘기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