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탄소배출 제로(0)를 목표를 실현하려면 2030년 전력 실질가격이 2021∼2022년 전력 적용단가보다 35∼36% 상승한다는 전망치가 나왔다.
26일 자원경제학회가 한국전력경영연구원에 제출한 '2050 탄소중립에 따른 전력시장 영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탄소배출 제로를 위해선 소비자의 전기요금으로 발전 비용·계통 강화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전력수요, 발전원별 발전량 등의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상 주요 전제에 따라 시나리오 A·B로 나눠 전력 실질가격을 추계했다.
2021∼2022년 전력 적용단가를 kWh당 110원으로 놓고 이를 기준으로 시나리오 A상 2030년 실질가격은 36.27%, 2040년 실질가격은 43.54%, 2050년 실질가격은 26.8% 증가할 것으로 추계했다.
시나리오B에선 2030년 전력 실질가격으로 kWh당 148.6원, 2040년 kWh당 157.1원, 2050년 kWh당 135.7원을 제시했다. 시나리오 A와 마찬가지로 2040년까지는 전력 실질가격이 증가한 이후 소폭 하락하는 모습이다.
2021∼2022년 전력 적용단가인 kWh당 110원보다 시나리오 B상 2030년 실질가격은 35.09%, 2040년 실질가격은 42.81%, 2040년 실질가격은 23.4% 증가할 것으로 추계했다.
전력 실질가격이 오르는 건 친환경에너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발전 비용과 계통 강화 비용이 늘어나서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석탄과 LNG에 비해 발전 비용이 높다. 또한 재생에너지는 변동성이 커 실시간 전력 수급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비용과 송전·변전·배전 보강 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보고서는 "2050 탄소중립에 필요한 전기요금을 추정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한국전력의 경영 여건과 한국 경제에 미칠 경제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