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활용이 국가 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란 인식이 확산되자, 산업계뿐 아니라 공공부문 조직 상당수가 AI 기술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 공공기관 10곳 중 7곳은 AI를 도입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10곳에 1곳은 AI 도입 예산과 인재가 부족하다고 호소한다.
24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공공부문 AI 활용현황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를 진행한 2022년 당시 국내 공공기관 400곳 중 55%에 해당하는 220곳이 AI 기술을 도입해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 답한 기관 19%(75곳)는 AI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거나 도입 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26%(105곳)는 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공공기관들은 AI 기술을 조직 내부 업무에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95곳 중 120곳(40.7%)은 '고객관리'에 AI를 활용한다고 답했고, 64곳(21.7%)은 ‘조직관리’에 이 기술을 쓴다고 밝혔다. 내부 업무 AI 도입 대표 사례로 무역 관련 빅데이터 분석으로 시장·구매처를 추천하는 코트라(KOTRA)의 서비스, 인사혁신처의 개인 맞춤형 교육과 인물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인재개발 온라인 플랫폼과 국가인재 DB 등이 꼽혔다.
AI 도입 시 가장 기대되는 효과는 업무 효율 향상과 비용 절감이었다. 기관 295곳 중 AI 도입 기대 효과 1순위로 '업무 효율성 향상·비용 절감'을 선택한 곳이 68.8%로 나타났고, 사업 개발·개선(13.9%)과 의사결정 향상(8.8%)이 뒤를 이었다. 기대 효과 1~3순위 응답을 합하면 업무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기대하는 기관 비율은 91.2%에 달했다.
예산과 인력 부족은 AI 도입을 가로막는 큰 원인으로 드러났다. AI 도입 장애 요인을 묻는 문항(복수응답)에 기관 295곳 중 절반 가까운 136곳(46.1%)이 '예산 부족'을 꼽았다. '역량을 갖춘 신규인력 채용이 어렵다'는 기관은 125곳(42.4%)에 달했다. '기존 직원의 역량 부족'과 '내부 가용 데이터 부족' 응답도 각각 30.5%, 24.4%를 차지했다.
AI 도입 활성화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295곳 중 가장 많은 99곳(33.6%)이 'AI 인력양성'을 지목했다. 다음으로 '데이터 개방 등 AI 인프라 구축'을 74곳(25.1%)이 선택했고, ‘규제개선·규율체계 정립'을 35곳(11.9%)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같은 조사에서 AI 기술 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한 105개 기관을 대상으로 미도입 사유를 조사한 결과 AI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예산 배정이 부족해서'라고 답한 기관이 30곳이었다. AI 기술 도입과 관련해 필요한 'AI 개발·관리 인력 부족' 때문에 도입하지 않는다는 기관이 9곳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통해 AI·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행정업무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SPRi의 이번 조사는 앞서 정부가 국가 전반의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과 함께 공공부문 AI 활용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전까지 수행되지 않았던 국내 공공부문 AI 활용실태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부문 AI 활용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AI 예산·인재 확보를 지원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