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앞으로는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자율주행차 등에서 고부가 일자리가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창출되고 가장 큰 효과는 글로벌 패권국가가 차지할 전망이다.
미래 일자리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신산업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하고 지능정보 역량을 강화하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뒷받침 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날 포럼에는 김세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이동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이정원 한국창직협회 회장이 주제 발표를, 김중진 고용정보원 직업연구팀장이 패널로 참석하여, 4차 산업혁명에 의한 미래 일자리의 모습을 살펴보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한국노동연구원 김세움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기술에 의한 대체가 용이한 영업 및 판매직 종사자는 많은 반면 교육, 법률, 의료분야의 고숙련 전문서비스 종사자는 적어 기술진보에 취약한 일자리 구조를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동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3D 프린팅 등 미래 유망분야에서 단기간에 대규모의 고부가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며 글로벌 패권을 쥐는 국가에서 가장 큰 일자리 창출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체제를 마련하고 지능정보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원 한국창직협회장은 "어떤 일자리가 사라지게 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미 존재하는 직업을 가지려는 계획을 버리고 스스로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가는 ‘창직(創職)’ 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중진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팀 팀장은 "인공지능 분야 등 파급력이 높은 일자리를 우선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100명의 인공지능전문가가 인공지능기술을 고도화하면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수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은 “사람들이 급격히 변화하는 일자리 지형 변화를 읽고 적기에 대응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 미래 일자리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