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시장 불안이 국내 금융회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중국의 부동산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 경제 불안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면밀히 관찰한다는 방침이다.
22일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 하에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민간 시장 전문가 등이 참여한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에서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중국 부동산 시장 불안이 중국 금융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중국에서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시노오션 등 부동산 기업이 이자 지급하지 못하면서 부동산 시장 불안이 촉발됐지만, 중국 정부가 대응 능력을 충분히 갖췄다는 것이다.
다만, 회복이 늦어질 경우 중국경제 전반에 걸친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2021년 기준 부동산 부문이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를 넘을 만큼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중국 경제 상황에 대해 모니터링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에 대한 국내 금융회사의 익스포저는 약 4000억원 수준에 그쳤기 때문이다. 업권별로 증권사 2200억원, 보험사가 1400억원이다. 이는 모두 유가증권을 가지고 있어 생긴 익스포저로 확인됐다. 또, 부동산 신탁 등 간접적인 익스포저까지 포함해도 1조원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회의에선 최근 환율상승에 따른 금융회사의 외화건전성을 점검과 대응 방안을 논의도 이뤄졌다. 참가자들은 금융회사들의 외화자금 조달 여건과 외환건전성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외환 시장 변동성 심화 등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대부분의 금융회사는 양호한 자금흐름을 유지하는 결과가 도출됐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은 대외요인이 부각됨에 따라 발생했다”며 “우리경제와 금융시장의 안정적인 펀더멘털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는 만큼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다만 “향후 상황 변화에 따라 대외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정부와 관계기관 등이 경계감을 가지고 대응체계를 한 층 더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