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102만명… 10년간 22만7000명↑

2023-06-11 14:12
  • 글자크기 설정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임금근로자 증가율 보다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012~2022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2.5%로 전체 임금근로자 연평균 증가율(1.4%)보다 1.8배 높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102만명으로, 10년 전 79만3000명에 비해 22만7000명 늘었다.

10년간 연령대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추이는 50대 이상이 2012년 28만7000명에서 2022년 47만명으로 연평균 5.0%씩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은 22만7000명에서 29만명으로 연평균 2.5% 증가했고, 30대는 9만7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연평균 0.7% 늘었다. 반면, 40대는 18만2000명에서 15만6000명으로 연평균 1.6% 감소했다.

이에 대해 한경연은 청년층이 얼어붙은 채용시장 때문에, 고령층은 휴폐업과 권고사직 등의 영향으로 시간제근로자가 증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10명 중 6명(60.8%)은 생활비 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 일자리를 구한 ‘생계형’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계형 시간제근로자는 2012년 9.4%에서 2022년 17.2%로 10년간 7.8%포인트 증가했다.

10년간 생계형 시간제근로자 추이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층(15~29세)이 2012년 7만1000명에서 2022년 13만4000명으로 연평균 6.6%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50대 이상은 23만4000명에서 36만1000명으로 연평균 4.4%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생계형 시간제근로자가 줄어든 30대(연평균 -1.7%), 40대(연평균 -4.4%)와 대조적이다.

10년간 청년층 생계형 시간제근로자 증가 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구직기간이 장기화되면서 시간제 일자리를 통해 생활비를 마련하는 청년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한국의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높은 수준이다. 2021년 전체 시간제근로자 중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한국이 43.1%로 조사대상 OECD 30개국 중 7위를 차지했다. OECD 30개국 평균인 29.1%의 1.5배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지난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증가세가 임금근로자보다 더 가팔랐다는 것은 구직자들이 원하는 일자리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규제개혁을 통한 민간활력 제고와 노동시장의 경직성 완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2~2022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추이 [자료=한국경제연구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