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동맹국들에 대한 미 정보기관의 도청 활동이 담긴 것으로 보이는 기밀 문건이 온라인에 유포된 것과 관련해 해당 문서의 형식이 보고 문서와 유사하다고 확인했다. 한국 등 동맹국의 도청 문제에 대해서는 외교 안보라인의 고위급 차원의 소통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다.
존 커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0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온라인상의 기밀 문건 유출 의혹과 관련, "이 문건들은 공공 영역(public domain)에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라면서 "이런 종류의 문서가 (유출돼) 공공 영역에 있는 것에 대해서는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이 문제의 진상을 파헤칠 것이며 필요한 조치가 있다면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서 유출의 배후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답했다. 커비 조정관은 "우리는 이 일의 배후가 누구인지도 동기가 무엇인지도 모른다. (문서 유출 배후에) 무엇이 있는지 모른다"고 했다. 이어 "법무부가 이 사안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보뿐 아니라 정보가 수집된 방식도 파악해 이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밀 문건에 한국·이스라엘 관련 내용이 포함된 것과 관련해서는 "미국 당국자들은 지난 며칠 동안 관련 동맹 및 파트너와 상당한 고위급에서 소통해왔다"며 "가능한 한 관련 동맹 및 파트너에 계속 알려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대변인도 "미국은 이 문제에 대해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고위급 관계를 맺고 있으며, 여기에는 정보 보호에 대한 우리의 약속과 파트너십 확보를 그들에게 확신시키는 것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 역내 가장 중요한 파트너 중 하나이며 우리는 한국과 여러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알 자지라 등에 따르면 크리스 미거 국방부 보좌관는 "국방부는 이같은 정보가 누구에게 어떻게 배포되었는지 자세히 살펴보기 위한 단계에 있다. 기밀 자료의 유출은 국가 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람들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유출된 기밀 문건들은 주로 올해 2월에 작성돼 2월 말~3월 초에 디스코드,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한 것으로 파악됐다. 유출된 문건의 전체 범위는 현재 불분명한 상태지만, 확인된 것만 100여쪽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