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불안감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거시 환경으로 일컬어지는 경기침체는 물론 미국, 중국 등 국가 간 통상 마찰이 거세지면서다. 사실상 경제계가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대내외 경영환경이 악화하면서 국내 기업에는 하나둘 경고등이 켜지기 시작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빠르게 비상 경영 태세로 전환하고 있다.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이른바 ‘삼중고’ 속에서 경기침체가 가속하자 비용을 줄이지 않고서는 버티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전 산업 분야에서 소비심리 위축, 투자 감소 등이 이뤄지며 올해 들어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반도체는 다운사이클(침체기)에 접어들며 경기 전반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달 반도체는 수출 규모가 지난해 동기 대비 42.5% 급감했다. 최대 수출 품목이 절반으로 줄며 정부는 지난달에 이어 두 달째 국내 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판단했다.
실제 반도체 재고는 26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1월 반도체 재고율은 265.7%로 1997년 3월(288.7%) 이후 25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그만큼 국내 기업들의 반도체가 팔리지 않아 재고가 쌓였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를 포함한 재고자산이 지난해 말 52조1879억원에 달했다. 또 SK하이닉스는 15조6647억원의 재고자산을 기록했다. 양사는 직전 해보다 각각 26%, 75% 급증한 수준을 나타냈다.
다른 산업도 상황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고금리에 리스(임차) 방식을 활용하거나 대출 비중이 높은 항공, 해운 등의 경우 자금 압박이 더 크다. 항공사는 항공기를 대부분 리스 방식으로 쓰고 있는데, 이를 달러로 지불해야 한다. 또 선박을 발주할 때도 대부분 선박금융을 활용하는 실정이다.
문제는 여기에 최근 국제적 통상마찰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데 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물론 최근 유럽연합(EU)의 ‘핵심 원자재법(CRMA)’까지 자국 우선주의가 심화하며 국내 기업들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공급망 재편 움직임에 따라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진 것이다.
당장에 반도체는 수요 감소에 따른 적자 전망 속 미국의 ‘반도체지원법’, 이른바 칩스법으로 중국 내 생산시설의 철수 가능성이 나온다. 미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규모 보조금을 지원하는 대신 10년간 중국 내 반도체 설비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가드레일 조항’을 내세워서다. 현실화할 경우 그간 투자금 회수에 따른 손실이 불가피하다.
또 올해 1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DS)과 SK하이닉스 모두 최대 4조원대 영업손실마저 전망되고 있다. 통상마찰에 의한 국내 기업의 더 큰 침체가 우려되는 이유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역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IRA는 배터리가 특정 광물·부품 요건을 충족해야 전기차에 세액공제 혜택을 준다는 게 핵심이다. 다만 아직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배터리 기업에는 공급망 다변화가 숙제인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올해 대부분 기업이 경영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며 “반도체나 이차전지 같이 각국 정부가 주목하고 있는 산업은 특히나 우리 정부의 지원 없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사에 견줘 버티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빠르게 비상 경영 태세로 전환하고 있다.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이른바 ‘삼중고’ 속에서 경기침체가 가속하자 비용을 줄이지 않고서는 버티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전 산업 분야에서 소비심리 위축, 투자 감소 등이 이뤄지며 올해 들어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반도체는 다운사이클(침체기)에 접어들며 경기 전반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달 반도체는 수출 규모가 지난해 동기 대비 42.5% 급감했다. 최대 수출 품목이 절반으로 줄며 정부는 지난달에 이어 두 달째 국내 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판단했다.
실제 반도체 재고는 26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1월 반도체 재고율은 265.7%로 1997년 3월(288.7%) 이후 25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그만큼 국내 기업들의 반도체가 팔리지 않아 재고가 쌓였다는 의미다.
다른 산업도 상황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고금리에 리스(임차) 방식을 활용하거나 대출 비중이 높은 항공, 해운 등의 경우 자금 압박이 더 크다. 항공사는 항공기를 대부분 리스 방식으로 쓰고 있는데, 이를 달러로 지불해야 한다. 또 선박을 발주할 때도 대부분 선박금융을 활용하는 실정이다.
문제는 여기에 최근 국제적 통상마찰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데 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물론 최근 유럽연합(EU)의 ‘핵심 원자재법(CRMA)’까지 자국 우선주의가 심화하며 국내 기업들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공급망 재편 움직임에 따라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진 것이다.
당장에 반도체는 수요 감소에 따른 적자 전망 속 미국의 ‘반도체지원법’, 이른바 칩스법으로 중국 내 생산시설의 철수 가능성이 나온다. 미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규모 보조금을 지원하는 대신 10년간 중국 내 반도체 설비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가드레일 조항’을 내세워서다. 현실화할 경우 그간 투자금 회수에 따른 손실이 불가피하다.
또 올해 1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DS)과 SK하이닉스 모두 최대 4조원대 영업손실마저 전망되고 있다. 통상마찰에 의한 국내 기업의 더 큰 침체가 우려되는 이유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역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IRA는 배터리가 특정 광물·부품 요건을 충족해야 전기차에 세액공제 혜택을 준다는 게 핵심이다. 다만 아직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배터리 기업에는 공급망 다변화가 숙제인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올해 대부분 기업이 경영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며 “반도체나 이차전지 같이 각국 정부가 주목하고 있는 산업은 특히나 우리 정부의 지원 없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사에 견줘 버티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