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정밀화학이 상업 생산된 청정 암모니아를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롯데정밀화학은 회사의 암모니아 터미널에 접한 울산항에서 청정 암모니아 입항식을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도입된 청정 암모니아는 지난 10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계약된 물량이다. 사빅AN과 사우디 아람코가 생산하고 독일 TÜV 인증을 받은 2만5000t(톤) 규모의 블루 암모니아다. 마덴의 2만5000t 물량도 올해 안에 입항할 예정이다.
롯데정밀화학은 동아시아 1위 암모니아 유통기업이자 사우디산 암모니아의 최대 고객사다. 현재 사우디산 암모니아 수입량은 연간 50만t, 약 5000억원 규모다. 지난 1월 아람코와 블루 수소·암모니아 사업 협약, 지난달 사우디 투자부와 정밀화학 사업 협약 등을 체결했다.
김용석 롯데정밀화학 대표는 “세계 최초 청정 암모니아 입항은 그동안 발표된 협약이나 계획이 아니라 대량 청정에너지 공급이 실현된 첫 사례라는 의미가 있다”며 “동아시아 1위 암모니아 유통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국이 아시아 청정에너지 허브가 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은 청정 수소·암모니아 수요를 창출하고 인프라·제도를 구축해 수소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2030년까지 화력발전소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발전용 암모니아 수요가 500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연간 130만t 규모인 기초화학·비료용 암모니아 수요의 4배 가량이 새롭게 추가되는 셈이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롯데그룹 화학군도 2030년까지 120만t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유통·활용할 계획이다. 해외 청정 수소·암모니아 도입·생산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암모니아 수소 개질 기술 상용화를 위해 미국의 시지지와 함께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공동 실증을 진행하고, 암모니아 열분해 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 설비를 울산에 구축할 예정이다.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대표(부회장)는 “세계 최초로 상업 생산된 청정 암모니아를 도입하는 것은 롯데그룹 화학군의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글로벌 네트워크와 프로젝트 경험 등 강점을 통해 생산·운송·유통에 이르는 인프라 구축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수소 산업 전 과정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롯데정밀화학은 회사의 암모니아 터미널에 접한 울산항에서 청정 암모니아 입항식을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도입된 청정 암모니아는 지난 10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계약된 물량이다. 사빅AN과 사우디 아람코가 생산하고 독일 TÜV 인증을 받은 2만5000t(톤) 규모의 블루 암모니아다. 마덴의 2만5000t 물량도 올해 안에 입항할 예정이다.
롯데정밀화학은 동아시아 1위 암모니아 유통기업이자 사우디산 암모니아의 최대 고객사다. 현재 사우디산 암모니아 수입량은 연간 50만t, 약 5000억원 규모다. 지난 1월 아람코와 블루 수소·암모니아 사업 협약, 지난달 사우디 투자부와 정밀화학 사업 협약 등을 체결했다.
한국 정부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은 청정 수소·암모니아 수요를 창출하고 인프라·제도를 구축해 수소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2030년까지 화력발전소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발전용 암모니아 수요가 500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연간 130만t 규모인 기초화학·비료용 암모니아 수요의 4배 가량이 새롭게 추가되는 셈이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롯데그룹 화학군도 2030년까지 120만t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유통·활용할 계획이다. 해외 청정 수소·암모니아 도입·생산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암모니아 수소 개질 기술 상용화를 위해 미국의 시지지와 함께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공동 실증을 진행하고, 암모니아 열분해 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 설비를 울산에 구축할 예정이다.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대표(부회장)는 “세계 최초로 상업 생산된 청정 암모니아를 도입하는 것은 롯데그룹 화학군의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글로벌 네트워크와 프로젝트 경험 등 강점을 통해 생산·운송·유통에 이르는 인프라 구축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수소 산업 전 과정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