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노인 빈곤율 1위, 합계 출산율 최저, 비용 대비 교육 효과 꼴찌….
OECD 다른 국가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사회지표를 표현하는 수식어다. 한국 경제를 대변하는 단어는 대부분 높은 수준까지 올라섰지만 빈부·고용·교육 등 사회 전반의 양극화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27일 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2011년 이후 계속 줄고 있지만 여전히 39%로, OECD 평균(13.1%)의 3배 수준이다.
한국 뒤로는 라트비아(39.0%), 에스토니아(37.6%) 등의 국가들이 자리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각각 23.1%, 20.0%다.
노인 빈곤율은 노인들의 우울증, 더 나아가서는 높은 자살률로도 이어진다. 한국의 노인자살률(인구 10만명당 46.6명)은 OECD 국가(평균 17.2명) 중에서도 압도적인 1위이다.
한국은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6%를 넘어 초고령사회가 되고 2050년에는 4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경제에만 몰두한 정부가 사실상 대책 마련에 손을 놓은 결과다.
그렇다고 청소년과 청년층의 삶의 질이 뛰어난 것도 아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2018년 가임여성 1명당 출생아 1명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매년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10대 자살률도 전년보다 10.1% 높아졌다.
블룸버그통신은 명문대 입시만을 우선시하는 '황금티켓 신드롬'으로 사교육 부담이 커지고, 이것이 청년고용 하락과 출산율 감소, 청년층 정신건강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진단했다.
고용과 교육 등의 밑바탕이 되는 인적자원 경쟁력은 OECD 38개국 중 24위로 중하위 수준에 그쳤다.
해외인력 유입, 여성인력 고용 등을 측정하는 매력도 부문에서 고등교육 해외 유입률이 2.8%로 나타났다. OECD 37개국 중 33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고숙련 일자리 중 여성 근로자 비율은 27위를 기록해 인재의 유입과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과적으로 교육과 직업 간 불균형이 크고, 노동생산성이 낮게 나타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인적자원 경쟁력 상위 국가들은 인재 적극 유치, 직업교육 활성화, 실질적 직업역량 개발 등 미래를 위한 인적자원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미래지향적인 인적자원 혁신정책보다는 고용유지 등에 비중을 둔 탓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교육 지출 대비 노동생산성 역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1인당 교육지출 대비 근로자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OECD 최하위 수준이었다. 아일랜드와 비교하면 교육지출은 40% 많은데 근로자 1인당 GDP는 오히려 60% 적다.
OECD 회원국 중 대학 전공과 직업선택 간 상관관계가 사실상 제로(0) 수준인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경제학자 반가운 연구원은 "한국은 '성공의 덫'에 걸려 있다"며 "교육이 나라를 이만큼 이끄는 데 핵심 역할을 했지만 이제 경제의 미래를 방해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