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사무직 근로자, 자동화 기술 도입 시 퇴직위험 3.6배 높아져"

2022-09-20 12:00
  • 글자크기 설정

한은, '기술 도입이 고령자 퇴직위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 발표

[사진=연합뉴스]


최근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자동화기술 도입 시 50세 이상 사무직 근로자의 퇴직위험이 3배 이상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신기술 도입 등 기술 발전 효과가 청년층 등 상당수 근로자들의 퇴직위험을 낮출 것으로 기대되지만 일부 연령층에는 되려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일 한국은행은 '기술 도입이 고령자 퇴직위험에 미치는 영향' BOK경제연구 보고서를 통해 "기술은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이중적인 역할을 한다"면서 "다만 이 과정에서 연령대별로 기술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에 진입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국내 생산가능인구로 분류되는 15세부터 64세 가운데 50세 이상 인구 비중이 지난 2020년 기준 33.1%를 나타냈다. 해당 연령층 비중은 오는 10년 뒤인 2030년 36.6%, 2050년 42.1%로 관측되는 등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간 사업체 패널 기업 특성과 기술도입 여부, 고용보험 등을 결합해 기술이 근로자 퇴직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 분석했다. 그 결과 새로운 자동화 기술이나 IT 투자 확대, IT 장비 확충과 같은 기술도입은 전반적으로 근로자의 퇴직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퇴직위험 하락폭은 근로자 연령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실제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젊은 근로자의 퇴직위험은 0.77배로 나타난 반면 50세 이상 근로자의 퇴직위험은 그보다 높은 0.88배를 기록했다. 특히 직종이나 퇴직사유에 따라 기술도입이 고령근로자의 퇴직위험을 확대시킨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은 관계자는 "자동화 기술 도입은 사무직 고령 근로자의 퇴직위험을 3.62배(젊은 근로자 대비 1.3배)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IT 관련 장비 구입 역시 젊은 근로자에게는 큰 영향이 없는 반면 고령 근로자에 대해서는 해고 등 비자발적인 퇴직 위험을 1.48배로 높이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은은 인구감소에 대비해 노동력 유지를 위한 정책을 수립할 경우 기술 도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한은 측은 "새로운 기술 도입 시 고령자의 고용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