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달러화 '초강세' 현상이 심해지는 가운데 신흥국의 경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물가 고공행진 속에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을 우려하는 국가들이 많아지면서, 일부 신흥국은 국가부도까지 걱정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신흥국만큼은 아니더라도 물가 추가 상승 압박과 무역수지 적자 확대가 우려된다.
1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달러화 강세 여파로 지난 6월 말 기준 대다수 신흥국 통화 가치가 연초보다 5% 이상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라오스 -25.5% △터키 -21.4% △아르헨티나 -17.7% △이집트 -16.4% 등은 15% 넘게 하락했다. 달러화 강세는 무역, 물가, 외채, 자본시장 등 여러 부문에서 신흥국에 악재로 작용한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5일 기준 장중 1200원을 돌파해 1326.1원에 마감했다. 한국은 6월 수입물가(원화 기준)가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6% 치솟았는데 달러화 강세가 지속하면 물가 상승 압박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국제금융센터는 "신흥국은 선진국의 통화 긴축 여파로 차입 비용이 늘어나, 자금 조달 환경이 나빠지고 있다"면서 "동시에 외채 상환 부담은 커지는 '이중고'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지난 13일 IMF 블로그에서 "달러화 강세와 함께 이미 신흥시장에서 투자금이 유출되고 있다"고 의견을 더했다.
대한민국은 미국과의 정책금리 역전이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밟아 2.25%가 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말 기준금리를 2.5%로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 한국 기준 금리보다 높아진다.
그러나 대규모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와 달리 실제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되더라도 큰 폭의 자금 유출은 제한적일 것이라 보는 의견도 있다. 한국이 양호한 투자처인 만큼 '한국의 정책금리 역전=자금 유출'이라는 공식이 일방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일부 신흥국은 도미노 국가부도를 우려하고 있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러시아와 스리랑카에 이어 채무불이행(디폴트)에 가장 취약한 5개국으로 △엘살바도르 △가나 △이집트 △튀니지 △파키스탄 등을 뽑았다.
가령 파키스탄은 대외부채 급증과 물가 폭등, 외환 보유액 감소 등으로 경제위기에 처해 지난 5월 말 외화 절약을 위해 자동차 등 비필수 사치품의 수입을 금지했다. 또 IMF에서 11억700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받기로 실무협상에서 합의했다.
방글라데시의 경우 외환보유액 부족에 따라 IMF와 40억~45억 달러 규모의 구제금융협상에 나섰다. 이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달러를 파는 방식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면서 상당수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국제금융센터는 '역환율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역환율 전쟁'이란 경기 부양보다 물가 안정에 초점을 맞춰 자국 통화 약세를 제한하려는 경쟁이다. 수출 경쟁력 제고를 통한 경기 부양을 위해 자국 통화가치를 경쟁적으로 낮추는 '환율 전쟁'과 대비된다. 다만 '역환율 전쟁'은 외환보유액 감소로 대외 지급 여력을 약화하고 환율 불안을 키울 수 있다.
한편 한국은행은 현재 외환보유액이 부족하지 않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외환 시장 안정을 위해 지난해 말 종료된 한·미 통화 스와프의 재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관련 내용은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다음주 한국을 방문할 때 논의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5일 기준 장중 1200원을 돌파해 1326.1원에 마감했다. 한국은 6월 수입물가(원화 기준)가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6% 치솟았는데 달러화 강세가 지속하면 물가 상승 압박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지난 13일 IMF 블로그에서 "달러화 강세와 함께 이미 신흥시장에서 투자금이 유출되고 있다"고 의견을 더했다.
대한민국은 미국과의 정책금리 역전이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밟아 2.25%가 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말 기준금리를 2.5%로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 한국 기준 금리보다 높아진다.
그러나 대규모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와 달리 실제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되더라도 큰 폭의 자금 유출은 제한적일 것이라 보는 의견도 있다. 한국이 양호한 투자처인 만큼 '한국의 정책금리 역전=자금 유출'이라는 공식이 일방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일부 신흥국은 도미노 국가부도를 우려하고 있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러시아와 스리랑카에 이어 채무불이행(디폴트)에 가장 취약한 5개국으로 △엘살바도르 △가나 △이집트 △튀니지 △파키스탄 등을 뽑았다.
가령 파키스탄은 대외부채 급증과 물가 폭등, 외환 보유액 감소 등으로 경제위기에 처해 지난 5월 말 외화 절약을 위해 자동차 등 비필수 사치품의 수입을 금지했다. 또 IMF에서 11억700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받기로 실무협상에서 합의했다.
방글라데시의 경우 외환보유액 부족에 따라 IMF와 40억~45억 달러 규모의 구제금융협상에 나섰다. 이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달러를 파는 방식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면서 상당수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국제금융센터는 '역환율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역환율 전쟁'이란 경기 부양보다 물가 안정에 초점을 맞춰 자국 통화 약세를 제한하려는 경쟁이다. 수출 경쟁력 제고를 통한 경기 부양을 위해 자국 통화가치를 경쟁적으로 낮추는 '환율 전쟁'과 대비된다. 다만 '역환율 전쟁'은 외환보유액 감소로 대외 지급 여력을 약화하고 환율 불안을 키울 수 있다.
한편 한국은행은 현재 외환보유액이 부족하지 않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외환 시장 안정을 위해 지난해 말 종료된 한·미 통화 스와프의 재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관련 내용은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다음주 한국을 방문할 때 논의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