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식량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식량 가격 상승이) 정점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세계 식량 가격과 아시아 가격 상승 사이에 일정 시차가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가격이 급상승한 밀을 쌀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면 쌀 가격이 상승해 아시아 경제를 위축시키고 기아 위기도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시아 식품 가격 상승세 지속 예상…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도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일본의 금융투자사 노무라 그룹의 보고서를 인용해 아시아의 식품 가격이 몇 달간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무라 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의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2.7% 수준에서 지난달 5.9%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세계 식량 가격과 아시아의 식량 가격이 6개월의 시차가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올해 하반기에 식품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물가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치는 식품과 같이 자주 구매하는 생필품 가격의 영향을 받아 더 높아질 수 있다"면서 "자카르타와 마닐라는 생활비 가중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최저임금 수준을 높였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인도, 한국, 필리핀 등을 올해 하반기 가장 급격한 식품 가격 인상이 예고되는 지역으로 꼽았다. 올해 하반기 식품 가격 상승률은 인도 9.1%, 한국 8.4%, 싱가포르 8.2%, 필리핀 6.9% 등이었다.
아시아의 식품 인플레이션은 가계 소비를 감소시켜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태국과 인도네시아는 상대적으로 높은 물가상승률과 식품에 대한 가계 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식품 가격 상승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에 대한 소비자 지출 비율은 △필리핀 42% △베트남 29% △태국 26% △말레이시아 21% 수준이다.
보고서는 세계 식량 가격과 아시아의 식량 가격이 6개월의 시차가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올해 하반기에 식품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물가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치는 식품과 같이 자주 구매하는 생필품 가격의 영향을 받아 더 높아질 수 있다"면서 "자카르타와 마닐라는 생활비 가중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최저임금 수준을 높였다"고 전했다.
아시아의 식품 인플레이션은 가계 소비를 감소시켜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태국과 인도네시아는 상대적으로 높은 물가상승률과 식품에 대한 가계 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식품 가격 상승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에 대한 소비자 지출 비율은 △필리핀 42% △베트남 29% △태국 26% △말레이시아 21% 수준이다.
식품 가격 상승으로 아시아의 영양실조↑
식품 가격 상승은 아시아의 영양실조 인구를 늘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019년 세계은행(WB)의 총 인구 자료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영양실조 인구 비중은 △필리핀 9.4% △태국 8.2% △미얀마 7.6% △베트남 6.7% △인도네시아 6.5 % 등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식품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력이 약한 계층의 영양 섭취는 빈약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아프가니스탄 등 최빈국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지난 18일 "식량 인플레이션이 전 세계 소비자를 강타하지만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이를 감내할 능력이 없다"고 보도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물가가 오르면서 약 2280만명의 아프가니스탄 사람이 굶주린 상태로 지내고 있다. 유엔 통합 식량 안보 단계 분류(IPC) 이니셔티브는 보고서를 통해 "식품의 높은 가격은 아프가니스탄 전체 인구의 97%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올해 아프가니스탄의 어린이 100만명 이상이 심각한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는 2018년의 두 배 수준이다.
2019년 세계은행(WB)의 총 인구 자료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영양실조 인구 비중은 △필리핀 9.4% △태국 8.2% △미얀마 7.6% △베트남 6.7% △인도네시아 6.5 % 등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식품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력이 약한 계층의 영양 섭취는 빈약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아프가니스탄 등 최빈국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지난 18일 "식량 인플레이션이 전 세계 소비자를 강타하지만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이를 감내할 능력이 없다"고 보도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물가가 오르면서 약 2280만명의 아프가니스탄 사람이 굶주린 상태로 지내고 있다. 유엔 통합 식량 안보 단계 분류(IPC) 이니셔티브는 보고서를 통해 "식품의 높은 가격은 아프가니스탄 전체 인구의 97%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올해 아프가니스탄의 어린이 100만명 이상이 심각한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는 2018년의 두 배 수준이다.
식량 가격 폭등, 쌀 가격 폭등으로 이어지나
인도의 폭염, 원유 가격 상승 등으로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식료품 시장에 밀 수요를 쌀로 대체하려는 모습이 더해지면 쌀 가격도 폭등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13일 CNBC는 "식량가격 폭등세가 쌀로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품종별로 살펴보면 인디카쌀(안남미)은 작년 12월부터 6개월 연속 올랐고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자포니카쌀 가격은 작년 9월부터 9개월 연속 올랐다.
일본 투자은행 노무라의 소날 바르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쌀 가격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밀 가격 상승은 쌀에 대한 대체로 이어질 수 있고 수요 증가와 재고 부족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쌀 수출 국가는 가격 폭등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쌀 관련 보호무역을 시행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이들의 쌀 보호무역 조치 시행은 자국 내 쌀 가격 상승을 방어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쌀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바르마 이코노미스트는 "보호 무역 조치가 여러 가지 이유로 세계적인 수준에서 가격 압력을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태국과 베트남도 쌀 수출 가격 인상을 논의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미 쌀 사재기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로이터는 수출업체 4곳의 말을 인용해 쌀 거래업체들이 지난 3주간 인도산 쌀을 사들이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데이비드 라보드 선임 연구원은 "지금으로서는 인도가 밀과 설탕 다음으로 수주 내 쌀 수출금지 결정을 내리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인도와 중국은 세계 양대 쌀 생산국으로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베트남은 다섯번째, 태국은 여섯번째 생산국이다.
지난 13일 CNBC는 "식량가격 폭등세가 쌀로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품종별로 살펴보면 인디카쌀(안남미)은 작년 12월부터 6개월 연속 올랐고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자포니카쌀 가격은 작년 9월부터 9개월 연속 올랐다.
일본 투자은행 노무라의 소날 바르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쌀 가격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밀 가격 상승은 쌀에 대한 대체로 이어질 수 있고 수요 증가와 재고 부족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쌀 수출 국가는 가격 폭등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쌀 관련 보호무역을 시행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이들의 쌀 보호무역 조치 시행은 자국 내 쌀 가격 상승을 방어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쌀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바르마 이코노미스트는 "보호 무역 조치가 여러 가지 이유로 세계적인 수준에서 가격 압력을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태국과 베트남도 쌀 수출 가격 인상을 논의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미 쌀 사재기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로이터는 수출업체 4곳의 말을 인용해 쌀 거래업체들이 지난 3주간 인도산 쌀을 사들이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데이비드 라보드 선임 연구원은 "지금으로서는 인도가 밀과 설탕 다음으로 수주 내 쌀 수출금지 결정을 내리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인도와 중국은 세계 양대 쌀 생산국으로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베트남은 다섯번째, 태국은 여섯번째 생산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