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가 우주를 향해 날아오를 준비를 마치고 최종 발사 시간을 기다린다. 누리호는 현재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수직으로 기립해 있으며 발사대와 연결을 마쳤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 발사 준비 과정은 순조롭게 이뤄졌으며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다.
오승협 항우연 발사체추진기관개발부장은 "발사 당일(21일) 오전 엄빌리컬(연료와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점검을 마치고, 발사체 내부 밸브 구동을 위한 헬륨가스 주입을 시작할 계획이다. 현재 고층풍, 기류 변화 등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발사 직전까지 네 차례 측량을 진행해 최종적인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누리호는 이날 오전 7시 20분 발사체 종합조립동을 출발해 8시 45분 제2발사대에 도착했다. 기립 작업은 11시 10분 완료됐다. 수평으로 옮긴 누리호를 발사할 수 있는 자세로 세우는 작업이다. 앞서 15일 진행된 누리호 설치 작업에서는 센서 오류가 발견돼 발사 일정을 부득이하게 취소했다. 수평 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문제가 기립 이후 발생했기 때문이다. 현재 항우연은 문제가 발생한 부분의 부품을 교체했으며 기립 후 문제가 발견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부품을 교체한 누리호에서는 센서 문제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
발사대에 고정된 누리호는 각종 점검을 마치고 엄빌리컬 타워와 연결됐다. 발사대는 단순히 누리호를 고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항우연 측 설명에 따르면 발사대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공장과 같은 설비가 구축돼 있다. 로켓에 연료와 산화제,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이 있으며, 자체 발전기도 갖추고 있다. 누리호 엔진이 연소를 시작하면 이륙하기 전까지 로켓에서 분출되는 연소 후류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초당 1.8톤(t) 배출한다. 제1발사대보다 두 배 정도 뛰어난 냉각 성능이다.
발사일인 21일에는 구름이 많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무리 없이 발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앞서 광주지방기상청은 21일 오전부터 비가 올 것으로 예상했으나 현재 예상되는 강수 확률은 30%로 크게 낮아졌다. 발사가 예정된 오후 4시에는 바람도 초속 5m로 비교적 약해 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21일 이른 아침부터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하고 연료와 산화제 주입 여부를 결정한다. 오전부터 전날 연결된 엄빌리컬에 대한 점검을 마치며, 수직으로 세워진 누리호에 대해 연료와 전기계통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점검을 진행한다.
연료와 산화제는 발사 4시간 전부터 주입하기 시작한다. 기상 상황과 우주 충돌체 등을 고려해 21일 오후 2시 30분 최종 발사 시간을 확정해 발표한다. 모든 작업을 마치고 발사를 10분 앞둔 시점부터는 발사 절차를 자동 운용 시스템에 맡긴다.
누리호는 발사 이후 제주도와 일본 규슈 지방 서쪽에 위치한 후쿠에 섬에서 각각 100㎞ 떨어진 곳을 지나 비행한다. 1단 로켓은 태평양 방향으로 발사장에서 약 413㎞ 떨어진 해상에, 2단 로켓은 2800㎞ 떨어진 해상에 낙하할 예정이다.
오승협 부장은 "나로호 실험도 세 차례 도전 끝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나로호에서) 두 차례 실패를 통해 원인을 찾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 누리호는 모두 우리 손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문제 원인과 해결책도 파악하고 있다"며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최선을 다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겠다. 대한민국이 우주로 갈 수 있는 길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 발사 준비 과정은 순조롭게 이뤄졌으며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다.
오승협 항우연 발사체추진기관개발부장은 "발사 당일(21일) 오전 엄빌리컬(연료와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점검을 마치고, 발사체 내부 밸브 구동을 위한 헬륨가스 주입을 시작할 계획이다. 현재 고층풍, 기류 변화 등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발사 직전까지 네 차례 측량을 진행해 최종적인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누리호는 이날 오전 7시 20분 발사체 종합조립동을 출발해 8시 45분 제2발사대에 도착했다. 기립 작업은 11시 10분 완료됐다. 수평으로 옮긴 누리호를 발사할 수 있는 자세로 세우는 작업이다. 앞서 15일 진행된 누리호 설치 작업에서는 센서 오류가 발견돼 발사 일정을 부득이하게 취소했다. 수평 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문제가 기립 이후 발생했기 때문이다. 현재 항우연은 문제가 발생한 부분의 부품을 교체했으며 기립 후 문제가 발견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부품을 교체한 누리호에서는 센서 문제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21일 이른 아침부터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하고 연료와 산화제 주입 여부를 결정한다. 오전부터 전날 연결된 엄빌리컬에 대한 점검을 마치며, 수직으로 세워진 누리호에 대해 연료와 전기계통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점검을 진행한다.
연료와 산화제는 발사 4시간 전부터 주입하기 시작한다. 기상 상황과 우주 충돌체 등을 고려해 21일 오후 2시 30분 최종 발사 시간을 확정해 발표한다. 모든 작업을 마치고 발사를 10분 앞둔 시점부터는 발사 절차를 자동 운용 시스템에 맡긴다.
누리호는 발사 이후 제주도와 일본 규슈 지방 서쪽에 위치한 후쿠에 섬에서 각각 100㎞ 떨어진 곳을 지나 비행한다. 1단 로켓은 태평양 방향으로 발사장에서 약 413㎞ 떨어진 해상에, 2단 로켓은 2800㎞ 떨어진 해상에 낙하할 예정이다.
오승협 부장은 "나로호 실험도 세 차례 도전 끝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나로호에서) 두 차례 실패를 통해 원인을 찾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 누리호는 모두 우리 손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문제 원인과 해결책도 파악하고 있다"며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최선을 다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겠다. 대한민국이 우주로 갈 수 있는 길을 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