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대선 판세가 역대급 안갯속이다. 16일 공표된 '한길리서치(쿠키뉴스 의뢰로 지난 12~14일 조사,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여론조사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율은 각각 41.9%, 42.4%로, 0.5%포인트 격차에 불과했다.
초박빙 구도를 이어가는 두 후보는 이날 지지율 취약 지역인 서울 강남 지역과 호남 지역을 각각 방문했다. 이 후보는 청년층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 유세에서 현 40~50% 수준인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90%까지 대폭 확대하겠다고 공언했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호남 홀대론'을 고리로 호남 구애에 집중했다.
이번 대선이 역대급 혼전을 보이는 가운데 차기 대선 승부를 가를 지표로는 공식선거운동 직전 여론조사 결과와 '인천·경기·충청·제주' 등 스윙보터(부동층) 지역 표심, '앵그리(분노)' 세대·계층 지지율 등 세 가지가 꼽힌다.
①유세 기간 지지 후보 안 바꾼다?
정치권에서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지지 후보를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통용된다. 공식 선거운동 직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보였던 대선 후보가 최종 본선에서 당선된다는 뜻이다. 선거를 고작 3주일 앞두고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만큼 표심이 이미 굳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르면 지난 13~14일 대통령 후보자 등록 기간 여론조사 전문기관 9곳이 공표한 조사에서 오차범위 안팎으로 모두 선두에 선 윤 후보가 유리해 보인다.
다만 이 후보와 윤 후보가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인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에 해당 지표를 적용하기는 힘들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지금은 여론조사상 지지율 1·2위 후보도 바뀌는 상황"이라며 "그 정도로 두 후보 간 격차가 오차범위 내 박빙"이라고 말했다.
②'표심 바로미터' 인천·경기·충청·제주
인천·경기·충북·제주 표심을 보면 차기 당선인을 미리 알 수 있다는 얘기도 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치른 일곱 차례 대선에서 이들 지역이 모두 당선자를 맞혔기 때문이다. 서울은 2012년 18대 대선 당시 승자를 제대로 가려내지 못해 빠졌다.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됐지만 서울에서는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후보 득표율이 51.4%로 박 후보 득표율 48.2%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 중에서도 충청권은 특히나 대한민국 표심의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신 교수는 "충청권에서 1등을 하지 못한 후보가 당선된 적은 거의 없다"며 "지역을 대표하는 정당이 사라진 뒤 충청권은 자신들 이익을 대변해주는 쪽으로 왔다 갔다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③'앵그리' 세대·계층 어디로
반(反)정부 성향이 강한 세대와 계층이 당선인을 좌우할 가능성도 크다. 이번 대선에서는 문재인 정부 실정의 직격탄을 맞은 20·30세대와 자영업자가 대선 판세의 키를 쥘 것으로 보인다. 20·30세대는 진보색이 강한 40·50세대, 보수 성향이 강한 60대 이상 연령층과 달리 탈(脫)이념적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대선 때 문 대통령을 주로 지지했지만 이번에는 윤 후보를 지지하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념이 아닌 실리 위주로 후보를 선택하기 때문"이라며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으로 '벼락거지'가 돼 버린 세대 아니냐. 이 정부를 좋아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계층별로 보면 자영업자들에게 높은 지지를 받는 후보가 그간 당선됐다. 먹고사는 문제에 가장 민감한 계층이 자영업자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초박빙 구도를 이어가는 두 후보는 이날 지지율 취약 지역인 서울 강남 지역과 호남 지역을 각각 방문했다. 이 후보는 청년층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 유세에서 현 40~50% 수준인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90%까지 대폭 확대하겠다고 공언했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호남 홀대론'을 고리로 호남 구애에 집중했다.
이번 대선이 역대급 혼전을 보이는 가운데 차기 대선 승부를 가를 지표로는 공식선거운동 직전 여론조사 결과와 '인천·경기·충청·제주' 등 스윙보터(부동층) 지역 표심, '앵그리(분노)' 세대·계층 지지율 등 세 가지가 꼽힌다.
정치권에서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지지 후보를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통용된다. 공식 선거운동 직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보였던 대선 후보가 최종 본선에서 당선된다는 뜻이다. 선거를 고작 3주일 앞두고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만큼 표심이 이미 굳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르면 지난 13~14일 대통령 후보자 등록 기간 여론조사 전문기관 9곳이 공표한 조사에서 오차범위 안팎으로 모두 선두에 선 윤 후보가 유리해 보인다.
다만 이 후보와 윤 후보가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인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에 해당 지표를 적용하기는 힘들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지금은 여론조사상 지지율 1·2위 후보도 바뀌는 상황"이라며 "그 정도로 두 후보 간 격차가 오차범위 내 박빙"이라고 말했다.
②'표심 바로미터' 인천·경기·충청·제주
인천·경기·충북·제주 표심을 보면 차기 당선인을 미리 알 수 있다는 얘기도 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치른 일곱 차례 대선에서 이들 지역이 모두 당선자를 맞혔기 때문이다. 서울은 2012년 18대 대선 당시 승자를 제대로 가려내지 못해 빠졌다.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됐지만 서울에서는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후보 득표율이 51.4%로 박 후보 득표율 48.2%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 중에서도 충청권은 특히나 대한민국 표심의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신 교수는 "충청권에서 1등을 하지 못한 후보가 당선된 적은 거의 없다"며 "지역을 대표하는 정당이 사라진 뒤 충청권은 자신들 이익을 대변해주는 쪽으로 왔다 갔다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③'앵그리' 세대·계층 어디로
반(反)정부 성향이 강한 세대와 계층이 당선인을 좌우할 가능성도 크다. 이번 대선에서는 문재인 정부 실정의 직격탄을 맞은 20·30세대와 자영업자가 대선 판세의 키를 쥘 것으로 보인다. 20·30세대는 진보색이 강한 40·50세대, 보수 성향이 강한 60대 이상 연령층과 달리 탈(脫)이념적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대선 때 문 대통령을 주로 지지했지만 이번에는 윤 후보를 지지하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념이 아닌 실리 위주로 후보를 선택하기 때문"이라며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으로 '벼락거지'가 돼 버린 세대 아니냐. 이 정부를 좋아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계층별로 보면 자영업자들에게 높은 지지를 받는 후보가 그간 당선됐다. 먹고사는 문제에 가장 민감한 계층이 자영업자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념이 아닌 실리 위주로 후보를 선택하기 때문"
이 말에 따르면 허황되고 실적 없고 종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윤석열을 선택할 이유가 없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