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플랫폼 기업들의 데이터 독점에 기반한 시장 잠식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EU에서는 디지털 시장법(Digital Market Act)을 추진 중에 있고, 주요 내용은 독점 플랫폼이 보유한 데이터를 가맹 소상공인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제 3의 온라인 검색 사업자가 요청하는 경우 합리적이고 비 차별적인 조건으로 랭킹, 검색 등에 대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로 창출된 가치에 세금을 부과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홍 의원은 “EU 등 선진국의 디지털 세는 글로벌한 문제이기도 하지만 국가에서 보면 지역별 문제이기도 하다"며, "플랫폼 기업의 경우 수익은 전 세계, 전 지역에서 얻지만, 세금이나 고용 창출은 본사가 있는 곳에만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세계의 경우 광주 신세계와 대구 신세계를 별도 법인으로 해서 해당 지역에 세금을 내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플랫폼 기업이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방안과 대책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이어 홍석준 의원은 콘텐츠 제작자와 상생 방안과 관련해 “오징어 게임을 비롯해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콘텐츠가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데, 네이버에서도 K-웹툰, 스노우, 제페토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결국, 이것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시스템화할 것 인가의 문제”라며, “콘텐츠 생산 시스템을 기존의 선 공급 후 계약에서 선 계약 후 공급으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의 경우 과도한 위치 정보 공유 문제와 오픈채팅방의 비속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홍 의원은 “다른 회사와는 달리 카카오는 카카오 계열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해당 이용자의 위치 정보가 다른 카카오 회사에도 공유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 국민의 프라이버시는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오픈채팅방을 보면 익명으로 들어와 비속어가 남발되는 상황이 보이는데 미성년자들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게임 업체들은 비속어 필터링 기술을 이용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며 오픈채팅방에도 이런 기능을 추가해 무분별한 비속어로부터 오픈채팅방 이용자들을 보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카카오 모빌리티의 가맹택시 수수료 문제와 관련해 “카카오를 이용해 탑승한 승객에 대한 수수료도 문제지만, 카카오를 이용하지 않고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요금에도 수수료를 받는 것은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개선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