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강보합권에서 마감한 뉴욕증시는 재차 물가 압력이 높아진 가운데서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초거대 예산안에 일단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64.81p(0.19%) 오른 3만4529.45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3.23p(0.08%) 상승한 4204.1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46p(0.09%) 올라간 1만3748.74를 기록했다.
S&P500지수 11개 부문은 △임의소비재 -0.23% △산업 -0.1% △원자재 -0.15%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31% 등 4개 부문이 내리고 7개 부문은 올랐다. 각각 △필수소비재 0.0.2%(보합) △에너지 0.07% △금융 0.03% △헬스케어 0.3% △부동산 0.65%△기술주 0.3% △유틸리티 0.46% 등이다.
한 주 동안 다우와 S&P500지수는 각각 0.94%와 1.16% 상승했으며, 나스닥지수 역시 2.06%나 높아졌다.
이날 개장 전 미국 상무부는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표를 발표했다. 근원 PCE 물가지수(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물가 상승치 집계)의 경우 연방준비제도(Fed)가 물가 지표로 참고하는 지수 중 하나다.
4월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6%, 전년 대비 3.6% 상승해 월스트리트저널(WSJ)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전월 대비 0.6%, 전년 대비 2.9% 상승을 웃돌았다. 전월(3월)의 0.5%, 2.3% 상승치를 모두 상회했으며, 전년 대비 상승률은 2008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근원 PCE 물가지수의 경우 4월 전월 대비 0.7%, 전년 대비 3.1% 각각 상승했으며, 이 역시 시장 예상치인 0.6%과 2.9% 상승을 모두 웃돌았다.
시장과 전문가는 물가 오름세가 빠르긴 하지만, 연준이 테이퍼링(자산 매입의 점진적 축소)을 논의에 돌입할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하는 모양새다.
이미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이미 4.2%나 급격히 상승했기에 PCE 역시 높은 상승률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기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선반영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날 1.609%에서 1.6% 아래로 떨어지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물가 상승 압박을 일부 완화한 데는 이날 공개한 4월 개인 소득이 둔화한 것도 작용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코로나19 부양책이 개인들에게 1400달러의 현금을 지급한 효과가 줄어들면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부양책 효과로 일시적이라는 것에 해석이 모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미국 상무부는 4월 개인 소득(20.9% 증가)이 전월 대비 13.1% 급감했으며, 3월 23.4% 급증했던 가처분 소득 역시 4월 14.6%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월 4.7%의 증가세를 보였던 개인소비지출은 4월 0.5% 상승에 그쳤으며, 저축률은 14.9%나 대폭 확대했다. 저축률이 오른 것 역시 소비 증가 기대치를 낮추는 요인이다.
체리레인 인베스트먼트의 릭 메클러 파트너는 로이터에서 "이제 시장은 인플레이션 수치를 덜 우려하고 경제 재개에 따른 기업 실적 개선세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면서 "최근 연준에서 잇따라 내놓은 공개 발언들이 인플레이션 공포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됐다"고 진단했다.
폴 플루드 뉴튼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투자관리자 역시 WSJ에서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지 않으며, 경제 회복을 위해 추세에 뒤처진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모두가 인플레이션이 단기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바이든 행정부가 내놓은 2022회계연도(2021년 10월~2022년 9월) 예산안은 시장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한 해동안 6조100억 달러(약 6700조원)의 지출을 요청하는 1700쪽 분량의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여기에는 앞서 발표했지만 아직 법제화하지 못한 (향후 10년 간) 2조2500억 달러 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미국 일자리 계획)과 1조8000억 달러의 복지 확대 방안(미국 가족 계획) 등을 반영했으며, 국방·교육 등의 분야에 대한 1조5000억 달러 규모의 재량 지출 방안도 포함했다.
아울러 이날 미국 재무부는 증세 계획으로 향후 10년 동안 3조6000억 달러의 조세 수입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고, 미국의 경제 성장률 역시 올해 5%, 내년 4.3%로 전망하면서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을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예산안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행정부가 제안한 최대 규모의 지출 계획"이라면서 "부유층과 기업의 소득과 부를 재분배함으로써 중산층을 키우려는 목표"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역시 "바이든 행정부의 예산안은 성장이 아닌 부의 재분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증세안과 함께 거대한 규모의 재정 지출 계획에 야당인 공화당이 찬성표를 던질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장이 부족하자 다시 열기를 지폈던 '밈 종목'(meme stock)의 상승세는 이날 힘이 빠졌다. 미국 최대 영화관 기업인 AMC엔터테인먼트 홀딩스의 주가는 이날 1.40% 하락 마감했으며, 게임스탑도 12% 넘게 급락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36% 오른 16.80을 기록했으며, 오는 31일 뉴욕증시는 미국의 현충일에 해당하는 '메모리얼 데이'를 맞아 휴장한다.
유럽 주요국 증시 역시 미국 시장의 활기에 동조해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이날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04% 올라간 7022.61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30지수는 0.74% 오른 1만5519.98로,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0.75% 상승한 6484.11로 마감했다. 범유럽지수인 유로 Stoxx50지수는 0.78% 오른 4070.56을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마치고 소폭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0.53달러(0.8%) 떨어진 배럴당 66.3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전날 WTI 가격은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영국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7월물 브렌트유는 0.24%(0.17달러) 오른 69.63달러를 기록했다.
다음 달 1일 예정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 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회의를 앞두고 산유량 감산 합의 관망세가 짙어진 것이 이날 내림세를 부추겼다. 이와 함께 시장은 이란 핵합의(JCPOA) 협정 상황에 따라 세계 최대 산유국 중 하나인 이란산 원유의 수출 재개 여부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은 6.80달러(0.4%) 상승한 1905.30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64.81p(0.19%) 오른 3만4529.45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3.23p(0.08%) 상승한 4204.1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46p(0.09%) 올라간 1만3748.74를 기록했다.
S&P500지수 11개 부문은 △임의소비재 -0.23% △산업 -0.1% △원자재 -0.15%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31% 등 4개 부문이 내리고 7개 부문은 올랐다. 각각 △필수소비재 0.0.2%(보합) △에너지 0.07% △금융 0.03% △헬스케어 0.3% △부동산 0.65%△기술주 0.3% △유틸리티 0.46% 등이다.
한 주 동안 다우와 S&P500지수는 각각 0.94%와 1.16% 상승했으며, 나스닥지수 역시 2.06%나 높아졌다.
4월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6%, 전년 대비 3.6% 상승해 월스트리트저널(WSJ)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전월 대비 0.6%, 전년 대비 2.9% 상승을 웃돌았다. 전월(3월)의 0.5%, 2.3% 상승치를 모두 상회했으며, 전년 대비 상승률은 2008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근원 PCE 물가지수의 경우 4월 전월 대비 0.7%, 전년 대비 3.1% 각각 상승했으며, 이 역시 시장 예상치인 0.6%과 2.9% 상승을 모두 웃돌았다.
시장과 전문가는 물가 오름세가 빠르긴 하지만, 연준이 테이퍼링(자산 매입의 점진적 축소)을 논의에 돌입할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하는 모양새다.
이미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이미 4.2%나 급격히 상승했기에 PCE 역시 높은 상승률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기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선반영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날 1.609%에서 1.6% 아래로 떨어지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물가 상승 압박을 일부 완화한 데는 이날 공개한 4월 개인 소득이 둔화한 것도 작용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코로나19 부양책이 개인들에게 1400달러의 현금을 지급한 효과가 줄어들면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부양책 효과로 일시적이라는 것에 해석이 모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미국 상무부는 4월 개인 소득(20.9% 증가)이 전월 대비 13.1% 급감했으며, 3월 23.4% 급증했던 가처분 소득 역시 4월 14.6%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월 4.7%의 증가세를 보였던 개인소비지출은 4월 0.5% 상승에 그쳤으며, 저축률은 14.9%나 대폭 확대했다. 저축률이 오른 것 역시 소비 증가 기대치를 낮추는 요인이다.
체리레인 인베스트먼트의 릭 메클러 파트너는 로이터에서 "이제 시장은 인플레이션 수치를 덜 우려하고 경제 재개에 따른 기업 실적 개선세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면서 "최근 연준에서 잇따라 내놓은 공개 발언들이 인플레이션 공포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됐다"고 진단했다.
폴 플루드 뉴튼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투자관리자 역시 WSJ에서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지 않으며, 경제 회복을 위해 추세에 뒤처진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모두가 인플레이션이 단기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바이든 행정부가 내놓은 2022회계연도(2021년 10월~2022년 9월) 예산안은 시장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한 해동안 6조100억 달러(약 6700조원)의 지출을 요청하는 1700쪽 분량의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여기에는 앞서 발표했지만 아직 법제화하지 못한 (향후 10년 간) 2조2500억 달러 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미국 일자리 계획)과 1조8000억 달러의 복지 확대 방안(미국 가족 계획) 등을 반영했으며, 국방·교육 등의 분야에 대한 1조5000억 달러 규모의 재량 지출 방안도 포함했다.
아울러 이날 미국 재무부는 증세 계획으로 향후 10년 동안 3조6000억 달러의 조세 수입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고, 미국의 경제 성장률 역시 올해 5%, 내년 4.3%로 전망하면서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을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예산안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행정부가 제안한 최대 규모의 지출 계획"이라면서 "부유층과 기업의 소득과 부를 재분배함으로써 중산층을 키우려는 목표"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역시 "바이든 행정부의 예산안은 성장이 아닌 부의 재분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증세안과 함께 거대한 규모의 재정 지출 계획에 야당인 공화당이 찬성표를 던질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장이 부족하자 다시 열기를 지폈던 '밈 종목'(meme stock)의 상승세는 이날 힘이 빠졌다. 미국 최대 영화관 기업인 AMC엔터테인먼트 홀딩스의 주가는 이날 1.40% 하락 마감했으며, 게임스탑도 12% 넘게 급락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36% 오른 16.80을 기록했으며, 오는 31일 뉴욕증시는 미국의 현충일에 해당하는 '메모리얼 데이'를 맞아 휴장한다.
유럽증시·금값도 오름세...유가는 흔들
유럽 주요국 증시 역시 미국 시장의 활기에 동조해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이날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04% 올라간 7022.61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30지수는 0.74% 오른 1만5519.98로,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0.75% 상승한 6484.11로 마감했다. 범유럽지수인 유로 Stoxx50지수는 0.78% 오른 4070.56을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마치고 소폭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0.53달러(0.8%) 떨어진 배럴당 66.3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전날 WTI 가격은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영국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7월물 브렌트유는 0.24%(0.17달러) 오른 69.63달러를 기록했다.
다음 달 1일 예정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 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회의를 앞두고 산유량 감산 합의 관망세가 짙어진 것이 이날 내림세를 부추겼다. 이와 함께 시장은 이란 핵합의(JCPOA) 협정 상황에 따라 세계 최대 산유국 중 하나인 이란산 원유의 수출 재개 여부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은 6.80달러(0.4%) 상승한 1905.30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