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기차를 판매한 '테슬라'를 사이에 두고 미국과 중국이 알력다툼을 벌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이 테슬라 전기차에 내장한 자율주행 시스템과 데이터가 국가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며 '간첩 행위' 의혹을 주장한 것이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테슬라 차량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절대로'(never) 미국 정부에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테슬라가) 어느 국가에서든 '간첩 활동'을 한다면 모든 곳에서 문을 닫을 것"이라고 고 밝혔다.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포럼(CDF)에 화상으로 참석한 머스크 CEO는 "상업 회사가 중국에서건 미국에서건 스파이(간첩)로 가담한다는 것은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회사에 극도로 나쁠 것"이라면서 "우리(테슬라)는 모든 정보에 대해 기밀을 유지할 매우 강력한 동기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머스크가 이와 같은 발언을 한 배경에는 중국 당국이 테슬라의 자율주행 데이터가 군사 기밀을 유출하고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판단을 내렸다는 소문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 WSJ은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자국 군대와 항공·우주 등 주요 분야 국영기업 종사자에 대해 테슬라 전기차 사용을 제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지침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끄는 공산당 지도부가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 전기차 안팎에 내장한 카메라 센서와 초음파 센서 등의 데이터 수집 장치가 군사 기밀 등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유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을 통해 동기화하는 휴대폰 연락처 목록과 차량 위치, 시간 등의 사용자 정보가 미국으로 유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중국 온라인상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한 부대가 군사기밀 유출과 안보 위협을 이유로 군 주택단지 등에 대한 테슬라 차량의 진입과 주차를 금지했다는 통지문이 확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홍콩 일간지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조치가 중국 지도부의 우려를 반영해 몇 주 전에 내려졌다"면서 "머스크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달 중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와 관련해 테슬라 미국 본사와 중국 지사, 중국 당국은 아무런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
WSJ는 "그간 테슬라는 중국 내부에서 '모범적인' 외국 기업으로 꼽혀왔다"면서 "합작법인 없이 독립적으로 현지에 진출한 중국 최초의 외국 자동차 제조사"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8년 테슬라는 중국 상하이(上海) 당국의 지원을 받아 '기가팩토리' 공장을 개설한 후 중국 전기차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했고, 지난해에는 중국에서만 5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이는 테슬라의 2020년 전 세계 판매량의 30%에 달하는 비중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회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테슬라의 중국 매출 역시 66억6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체 매출(315억3600만 달러)의 21%를 차지했다.
아울러, 테슬라 중국 법인은 중국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의 카메라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등 중국 당국의 개인 정보 보호 법률과 규정을 준수해왔던 것으로도 알려졌다.
특히, 조 바이든 현 행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에 이어 중국과의 전면적인 대결 구도를 계승함에 따라, 테슬라가 양국의 기업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지난 18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을 전후로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강경한 외교 메세지뿐 아니라, 각종 규제 조치도 재정비해 발표했다.
특히, 지난 12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19년 제정한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통신 네트워크법'에 따라 화웨이와 ZTE, 하이테라, 하이크비전, 다화 등 5개 중국 기업을 '미국 안보 위협 기업'으로 지목했고, 중국 국영 이동통신사인 '차이나 유니콤'의 미국 시장 퇴출을 본격화했다.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전임 정권 당시 규제로 큰 타격을 입은 중국 최대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에 대한 제재 조치도 이어질 것이란 보도도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머스크 CEO도 20일 중국발전포럼(CDF)에서 "상업적 스파이 활동에 대한 우려가 과장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전 행정부가 전면 퇴출을 명령했던 중국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예로 들면서 "틱톡의 동영상 대부분에서 사람들은 그저 실없는(silly) 춤만 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테슬라 차량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절대로'(never) 미국 정부에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테슬라가) 어느 국가에서든 '간첩 활동'을 한다면 모든 곳에서 문을 닫을 것"이라고 고 밝혔다.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포럼(CDF)에 화상으로 참석한 머스크 CEO는 "상업 회사가 중국에서건 미국에서건 스파이(간첩)로 가담한다는 것은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회사에 극도로 나쁠 것"이라면서 "우리(테슬라)는 모든 정보에 대해 기밀을 유지할 매우 강력한 동기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머스크가 이와 같은 발언을 한 배경에는 중국 당국이 테슬라의 자율주행 데이터가 군사 기밀을 유출하고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판단을 내렸다는 소문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 전기차 안팎에 내장한 카메라 센서와 초음파 센서 등의 데이터 수집 장치가 군사 기밀 등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유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을 통해 동기화하는 휴대폰 연락처 목록과 차량 위치, 시간 등의 사용자 정보가 미국으로 유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중국 온라인상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한 부대가 군사기밀 유출과 안보 위협을 이유로 군 주택단지 등에 대한 테슬라 차량의 진입과 주차를 금지했다는 통지문이 확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홍콩 일간지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조치가 중국 지도부의 우려를 반영해 몇 주 전에 내려졌다"면서 "머스크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달 중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와 관련해 테슬라 미국 본사와 중국 지사, 중국 당국은 아무런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
WSJ는 "그간 테슬라는 중국 내부에서 '모범적인' 외국 기업으로 꼽혀왔다"면서 "합작법인 없이 독립적으로 현지에 진출한 중국 최초의 외국 자동차 제조사"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8년 테슬라는 중국 상하이(上海) 당국의 지원을 받아 '기가팩토리' 공장을 개설한 후 중국 전기차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했고, 지난해에는 중국에서만 5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이는 테슬라의 2020년 전 세계 판매량의 30%에 달하는 비중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회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테슬라의 중국 매출 역시 66억6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체 매출(315억3600만 달러)의 21%를 차지했다.
아울러, 테슬라 중국 법인은 중국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의 카메라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등 중국 당국의 개인 정보 보호 법률과 규정을 준수해왔던 것으로도 알려졌다.
특히, 조 바이든 현 행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에 이어 중국과의 전면적인 대결 구도를 계승함에 따라, 테슬라가 양국의 기업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지난 18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을 전후로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강경한 외교 메세지뿐 아니라, 각종 규제 조치도 재정비해 발표했다.
특히, 지난 12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19년 제정한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통신 네트워크법'에 따라 화웨이와 ZTE, 하이테라, 하이크비전, 다화 등 5개 중국 기업을 '미국 안보 위협 기업'으로 지목했고, 중국 국영 이동통신사인 '차이나 유니콤'의 미국 시장 퇴출을 본격화했다.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전임 정권 당시 규제로 큰 타격을 입은 중국 최대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에 대한 제재 조치도 이어질 것이란 보도도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머스크 CEO도 20일 중국발전포럼(CDF)에서 "상업적 스파이 활동에 대한 우려가 과장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전 행정부가 전면 퇴출을 명령했던 중국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예로 들면서 "틱톡의 동영상 대부분에서 사람들은 그저 실없는(silly) 춤만 추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