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가계대출을 받은 차주의 70.2%가 변동금리로 대출을 실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변동금리형 대출 비중은 50%보다 낮았지만, 1년 새 20%포인트 넘게 상승한 것이다.
변동금리 대출은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상품이다. 변동금리 대출은 은행채와 같은 금융채와 코픽스(COFIX)가 기준금리가 되며, 기준금리의 상승 또는 하락 흐름을 따라간다. 변동대출 금리 비중이 70%가 넘었다는 건 차주 10명 중 7명은 시장금리 상승시 대출금리가 오른다는 것을 뜻한다.
문제는 최근 시중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장금리 상승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지난 1월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연 2.83%로 한 달 새 0.04%포인트나 올랐으며, 지난해 저점(연 2.55%)보다는 0.3%포인트 가까이 뛰었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도 대출금리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와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신용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은 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은행들의 신용대출 취급 관리 목표 준수 여부를 점검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신용대출 우대금리를 축소하거나 대출한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대출 문턱을 높인 바 있다. 최근에는 주택담보대출도 신용대출과 마찬가지로 우대금리를 없애 대출금리를 높이는 효과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장금리 인상 지속시 대출금리 인상이 올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가파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출금릴 상승에 따라 소득 대비 대출을 많이 받은 사람이나 이자 부담이 큰 한계가구부터 이상징후를 보일 위험이 크다.
김명실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연준과 한국은행 등 중앙은행이 충분히 개입하지 않으면 실질금리는 계속 올라갈 것”이라며 “명목금리 상승을 제어하지 못할 경우 실질금리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시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