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1755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3만2115달러)보다 1.1% 감소한 수치다. 지난 2019년(-4.3%)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저점을 낮췄다.
1인당 GNI는 국민들의 평균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달러화로 환산되기 때문에 명목 국민총소득(GNI)을 통계청 추계 인구로 나눠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산출한다.
여기엔 작년 우리나라의 명목 GDP 성장률이 0.3%까지 고꾸라진 게 영향을 줬다. 1998년(-0.9%) 이후 22년 만에 최저치다. 원·달러 환율 역시 1180.1원으로 전년(1165.7원)보다 연평균 1.2% 상승하면서 힘을 보탰다. 다만, 원화 기준(3747만3000원)으로는 전년 대비 0.1% 늘었다.
현재 1인당 GNI 순위는 주요 선진국 7개국(G7) 국가 중 이탈리아를 앞지를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달러화 기준으로 환산해야 해 정확한 파악은 불가능하다. 관련해서 조만간 국제기구가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작년 실질 GDP 성장률은 -1.0%를 기록했다. 지난 1월 발표했던 속보와 동일한 수치다. 외환위기가 왔던 1998년(-5.1%) 이후 22년 만의 역성장이다. 민간소비의 성장기여도가 -2.0%포인트를 기록하며 직접적인 발목을 잡았다. 반복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의 후유증이다. 정부소비(0.8%포인트)와 설비투자(0.6%포인트)는 비교적 선전했다.
4분기 성장률은 1.2%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속보 발표 당시, 반영하지 못했던 12월 소매판매와 국제수지, 산업활동 동향 등을 고려한 결과다. 수출(0.3%포인트)과 설비투자(0.1%포인트), 민간소비(0.1%포인트) 등이 일제히 상향 조정됐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명목 GDP 성장률은 0.3%이다. 이는 체감경기에 더 가까운 지표로 활용된다. 종합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디플레이터는 1.3%로, 전년(-0.9%) 대비 상승했다. 내수 디플레이터가 1.1%로 전년(1.3%)보다 낮아지긴 했지만 수출(-5.0%)보다 수입(-6.7%) 디플레이터가 더 큰 폭 하락한 영향이다.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손에 쥐는 소득인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0.3% 감소했다. 1998년(-7.7%)이후 22년 만에 최저치다. 명목 GNI 역시 전년대비 0.2%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 역시도 1998년(-1.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34.7%)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소비,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1938조7000억원)이 0.4% 상승한데 반해 최종소비지출(1243조8000억원)은 1.4% 감소하면서 저축률이 늘었다. 국내총투자율은 전년보다 0.2%포인트 오른 31.4%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