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구직자 3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자리 상황에 대한 청년세대 인식조사'에 따르면 청년들은 평균 9.3개월의 구직활동을 하면서 최근 1년간 8.4번의 입사지원서를 제출했고, 이를 통해 2.0회의 면접을 봤지만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의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일자리를 구하겠다는 청년들의 의욕도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현재 구직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4.0%만이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그냥 의례적으로 하고 있다'는 응답이 37.4%였고, '거의 안하거나 그냥 쉬고 있다'는 응답도 23.7%나 됐다.
조만간 취업할 수 있다는 청년들의 기대도 약해졌다. '올해 내 취업 가능할 것으로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7.1%가 어렵다고 답해 올해 내 취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41.3%)보다 많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들의 고용시장 진입이 지연되고 있는 것도 문제이지만, 코로나 이후를 준비해야 할 청년들의 자신감마저 위축돼 자칫 잃어버린 세대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근 고용시장 어려움에 대해 다수 청년들은 일시적인 상황으로 평가했다. 일자리가 감소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코로나로 인한 일시적인 감소'로 답한 경우가 64.1%로 가장 높았고, '자동화나 산업경쟁력 약화 등의 구조적인 요인'이라는 응답이 25.8%였다. '최저임금 인상 등 기업의 채용부담' 때문이라는 의견도 8.8%였다.
청년 실업률이 9%를 넘어서는 등 청년 취업이 특히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기업의 경력직 선호'(47.4%)를 가장 많이 꼽았다. '노동시장 경직성으로 청년층 기회감소'(26.1%)와 '대학 졸업자 과다'(13.4%), '중소기업 기피 등 일자리 미스매치'(11.2%)가 그 뒤를 이었다.
향후 고용시장이 언제쯤 정상으로 회복할 것을 예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금년 중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3.6%에 불과했다. '2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응답이 대부분(73.6%)을 차지했다.
고용시장이 단기간에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경기 불확실성 지속 우려'라는 응답이 49.2%로 절반가량이었고, '고용시장 경직으로 기업들의 채용 기피'(21.0%),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감소'(16.1%)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의 단기 공공일자리 사업에 참여해 보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77.8%가 '참여를 신청해 본 적이 없다'고 답한 반면, '참여해 보았다'는 응답은 6.4%에 불과했다. '신청을 했으나 떨어졌다'는 응답도 15.8%였다.
청년들이 공공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는 '경력에 도움되지 않을 것 같아서'가 3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보를 찾기 어려워'(27.5%)나 '취업에 집중하려고'(26.9%)도 신청을 안한 이유로 꼽혔다.
정부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청년에게 해당 일자리가 향후 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지에 대한 질문에 52.4%가 도움이 될 것으로 답했다. 반면 단순 업무라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도 47.6%나 됐다.
한편 최근 2~3년간의 급속한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대상의 73.2%가 부정적 영향에 '동의한다'고 응답한 반면, 26.8%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은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당면한 경기침체 상황이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봤다. '청년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한 우선 정책과제'를 묻는 질문에 조사 대상의 35.9%가 '경기 활성화'라고 응답했다. 이어 '노동시장 개혁'이라는 응답이 18.2%였으며, '기업투자 촉진'이라는 응답도 11.9%였다.
전인식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청년에게 희망을 주는 정책이 절실하다"며 "인력양성 사업을 활성화하는 한편 기업이 새로운 사업을 벌일 수 있도록 제도와 분위기를 쇄신하고, 노동시장 개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기업들이 청년을 채용할 수 있는 여력을 넓혀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5일부터 15일까지 만 19~34세 청년 구직자 329명을 대상으로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해 실시됐다.
조만간 취업할 수 있다는 청년들의 기대도 약해졌다. '올해 내 취업 가능할 것으로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7.1%가 어렵다고 답해 올해 내 취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41.3%)보다 많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들의 고용시장 진입이 지연되고 있는 것도 문제이지만, 코로나 이후를 준비해야 할 청년들의 자신감마저 위축돼 자칫 잃어버린 세대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청년 실업률이 9%를 넘어서는 등 청년 취업이 특히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기업의 경력직 선호'(47.4%)를 가장 많이 꼽았다. '노동시장 경직성으로 청년층 기회감소'(26.1%)와 '대학 졸업자 과다'(13.4%), '중소기업 기피 등 일자리 미스매치'(11.2%)가 그 뒤를 이었다.
향후 고용시장이 언제쯤 정상으로 회복할 것을 예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금년 중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3.6%에 불과했다. '2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응답이 대부분(73.6%)을 차지했다.
고용시장이 단기간에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경기 불확실성 지속 우려'라는 응답이 49.2%로 절반가량이었고, '고용시장 경직으로 기업들의 채용 기피'(21.0%),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감소'(16.1%)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의 단기 공공일자리 사업에 참여해 보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77.8%가 '참여를 신청해 본 적이 없다'고 답한 반면, '참여해 보았다'는 응답은 6.4%에 불과했다. '신청을 했으나 떨어졌다'는 응답도 15.8%였다.
청년들이 공공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는 '경력에 도움되지 않을 것 같아서'가 3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보를 찾기 어려워'(27.5%)나 '취업에 집중하려고'(26.9%)도 신청을 안한 이유로 꼽혔다.
정부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청년에게 해당 일자리가 향후 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지에 대한 질문에 52.4%가 도움이 될 것으로 답했다. 반면 단순 업무라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도 47.6%나 됐다.
한편 최근 2~3년간의 급속한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대상의 73.2%가 부정적 영향에 '동의한다'고 응답한 반면, 26.8%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은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당면한 경기침체 상황이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봤다. '청년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한 우선 정책과제'를 묻는 질문에 조사 대상의 35.9%가 '경기 활성화'라고 응답했다. 이어 '노동시장 개혁'이라는 응답이 18.2%였으며, '기업투자 촉진'이라는 응답도 11.9%였다.
전인식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청년에게 희망을 주는 정책이 절실하다"며 "인력양성 사업을 활성화하는 한편 기업이 새로운 사업을 벌일 수 있도록 제도와 분위기를 쇄신하고, 노동시장 개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기업들이 청년을 채용할 수 있는 여력을 넓혀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5일부터 15일까지 만 19~34세 청년 구직자 329명을 대상으로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해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