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 사장이 주도하는 삼성리서치(Samsung Research)는 삼성전자가 AI 기술을 중심으로 미래 선행기술 연구에 속도를 내기 위해 2017년 11월 설립한 조직이다. 당시 삼성전자는 삼성리서치를 신설하면서 “세트(완제품) 부문의 선행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DMC연구소와 소프트웨어센터를 통합해 삼성리서치로 확대 재편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가전, 스마트폰 등 완제품 부문의 통합연구소라 할 수 있는 삼성리서치는 전세계 연구거점과 2만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을 관할하는 명실상부한 선행 연구개발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2021년 현재 한국을 포함한 13개 국가에 글로벌 15개 R&D센터와 7개 AI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리서치 신설 당시, 그동안 부사장급으로 운영됐던 연구소를 사장급 조직으로 격상하고, 신임 CE(소비자가전) 부문장이 연구소장을 겸직하도록 해 조직의 위상을 한층 강화했다. 또한 CE 부문장이 관장하던 DMC연구소와 IM(IT모바일) 부문장이 이끌던 소프트웨어센터를 통합함으로써 전사 차원에서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혁신을 이끄는 역할을 하는 임무를 부여했다.
2018년 승 사장이 파격적인 대우인 ‘비상근 부사장’으로 영입, 삼성리서치 최고연구과학자(CRS)로서 삼성전자의 AI 전략 수립과 선행 연구에 대한 자문을 담당하기 시작한다. 지난해 6월에는 삼성리서치 소장(사장)으로 전격 선임돼 한국을 포함한 13개국, 15개 R&D센터와 7개 AI센터의 미래 신기술과 융복합 기술 연구를 총괄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AI를 필두로 데이터 지능과 6G·7G와 같은 차세대 통신, 로봇, 타이젠(TIzen), 헬스케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미디어, 정보보안 등이 있다.
삼성리서치는 세계적인 학회에서 우수 논문을 잇달아 발표하며 최근 연구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삼성리서치의 글로벌 연구소들은 ‘CVPR(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20’에서 총 1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중 모스크바 AI 센터와 토론토 AI 센터에서 제출한 세 편은 상위 5%만 채택되는 구두 발표 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승 소장 영입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5월 대국민 기자회견에서 ‘뉴 삼성 비전’을 발표하며 외부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겠다는 뜻을 밝힌 후 이뤄진 첫 사례다.
삼성 안팎에서는 승 소장 영입으로 기점으로 삼성전자가 인공지능 신경망 처리장치(NPU) 의 설계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본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에서 2030년까지 1위를 하겠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선언한 이후 내부적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을 서두르고 있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일각에서는 AI를 접목한 반도체를 개발해 자율주행차나 5G, 가전 등의 비메모리 시장을 선점하려는 목표도 삼성리서치를 중심으로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아울러 삼성은 더 나아가 스마트폰이나 자율주행차, 가전 등의 데이터를 클라우딩에 모으고 이 데이터를 재가공해 서비스하는 작업도 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올해 1월에도 삼성리서치를 찾아 기술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었다. 그는 지난달 6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삼성리서치를 방문해 “미래기술 확보는 생존 문제”라며 “오로지 회사의 가치를 높이고 사회에 기여하는 데 전념하자”고 말했다. 또 “선두기업으로서 몇십 배, 몇백 배 책임감을 갖자”고 독려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리서치에서 세트부문 사장단 회의를 주재하고 차세대 6G 통신 기술과 인공지능(AI) 연구개발 현황 등 미래 중장기 전략을 점검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이 AI 핵심 인재 확보와 기술 개발을 삼성리서치를 중심으로 빠르게 선점해 나가면서, 미래 핵심 사업인 AI 연구 역량과 AI 구현에 핵심적인 시스템반도체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