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의 연속이다. 집중 호우가 끝나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찾아왔다.
상황이 급변하자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정책도 혼선을 드러냈다.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8일 국회에 따르면 이날부터 2019 회계연도 결산을 위한 임시국회를 연다. 통상 결산국회는 이미 집행한 예산을 다루지만, 4차 추경이 화두가 될 전망이다.
짧은 기간 동안 확진자가 급증하자 정부에 비상이 걸렸다. 앞서 코로나가 대규모로 확산한 2~3월엔 대구·경북 지역에 집중됐지만, 이번에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몰린 수도권에서 무차별 확산하고 있다.
그런데 임시공휴일이 낀 14일 금요일부터 확진자가 급증했다. 정부는 결국 16일 0시부터 서울과 경기도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했다.
외식·농산물 할인쿠폰 캠페인도 시행 이틀 만에 잠정 중단했다. 외부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중이 밀집한 장소에 가라고 독려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미증유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방안 찾기에 여념이 없다.
그 방법 중 하나가 4차 추경이다.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멈추지 않으면 당·정·청은 4차 추경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적자국채 발행을 염려해 추경 책정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7~8월 수해 피해 복구를 위해 추경을 해야 한다는 야당의 주장에 정부가 반대한 이유다. 정부는 이미 확정한 기정예산과 코로나 대응 등에 사용하고 남은 예비비, 1조3000억원 규모의 국고채무부담행위로 대응할 수 있다고 봤다.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거둬들이는 세금이 줄면서 재정적자도 커졌다. 정부가 예상한 올 한해 관리재정수지는 111조5000억원이다. 그런데 6월에 벌써 정부 예상치에 다가섰다.
1~6월 재정적자는 110조5000억원으로, 상반기 기준 사상 최대의 적자다. 4차 추경이 현실화하면 올해 적자 규모는 130조~140조원까지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재정 운용에 여력이 있다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홍 부총리는 "절대 규모로 볼 때 (재정) 여력이 있다"며 "국가채무가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므로 증가 속도에 유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 비율은 43.5%로, 국가채무 증가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다른 국가들에 비해 월등히 낮다.
재정지출도 중요하지만, 적재적소의 집행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얼마나 많은 금액을 편성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구조조정을 기반으로 필요한 곳에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