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클리어 일대일로?'...中 도움받은 사우디, '핵 도미노' 시작?

2020-08-05 18:08
  • 글자크기 설정

사우디, 中 끌어들여 핵시설 건설...우라늄 농축 활용도 가능

이란핵협정 파기에 '중동 핵무장 도미노'?...美 중동 영향력↓

최근 이란이 핵무기 개발을 재개하자, 사우디아라비아는 원자력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급해진 사우디가 중국의 도움까지 받아 핵시설을 건설했다는 의혹이 나오면서, 중동 지역의 핵 개발 경쟁이 다시 불붙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우디, 中 도움 받아 핵시설 건설...우라늄 농축 활용도 가능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사우디가 중국의 도움을 받아 핵 관련 설비시설을 건설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아직 공개되지 않은 해당 시설은 사우디 북서쪽 사막지대에 있는 소도시 알 울라 인근에 위치한 우라늄염(우라늄정광·yellowcake) 추출 설비다. 가동 여부 등 구체적 정보는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

사우디는 설비 건설에 중국기관 2곳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해당 중국 기관에 대한 정보 역시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WSJ은 지난 2012년과 2017년 각각 사우디와 원자력 관련 협정을 맺은 중국핵공업건설집단공사(CNEC)와 중국핵공업총공사(CNNC)가 유력한 것으로 추측했다.

사우디 정부는 우라눔염 추출시설 건설은 '비전 2030'으로 불리는 '탈석유·경제구조 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경제적 목적으로 원자력 발전 기술을 확보하는 과정이라고 해명했다.

미국과 핵 비확산 단체 등에서는 우라눔염 추출 설비가 향후 핵무기 개발을 위한 우라늄 농축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제임스 마틴 핵 비확산 연구소'(CNS)의 이언 스튜어트는 WSJ에 "우라늄염 설비는 이란 핵무기에 대한 사우디 정부의 장기적인 대비책"이라면서 "자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겨냥한 행보"라고 지적했다.

현재 사우디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제한적인 안전보장조치협정인 소량의정서(SQP)에만 서명했을 뿐, 핵시설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 등을 허용하는 추가 의정서 추인은 거부 중이다.
 

이란의 우라늄 농축 시설 모습.[사진=AP·연합뉴스]

 
"중동 핵무장 도미노, 이란 이어 사우디도?"...중동 영향력, 美 약화-中 확대 

최근 미국과 이란의 비핵화협정(JPCOA)이 파기되며, 이란 군당국이 핵무기 제조 작업을 재개하자 중동 지역의 '핵 도미노 사태'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사우디 정부 역시 이란 핵 개발 사태 이후 핵무장에 대한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이란의 핵무기 개발 소식이 알려졌던 2003년 당시 영국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 정부는 이란에 대한 대응 옵션의 하나로 핵폭탄 보유나 개발을 검토했다.

이후 실권을 잡은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는 2016년 비전2030 계획을 발표하며 사우디의 원자력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했다. 지난 2018년 3월 미국 CBS 인터뷰에서 빈살만 왕세자는 "사우디는 핵폭탄 보유를 원하지 않지만, 이란이 핵폭탄을 개발한다면 우리도 빠른 시일에 핵폭탄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이후 1년여 만인 작년 9월 제24차 세계에너지총회에서는 빈살만 왕세자의 이복형인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장관이 "미래에 우라늄 생산과 농축을 희망한다"는 발언을 흘리기도 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이란핵협정 무력화에 공을 들이는 한편, 미국의 원자력 기술을 사우디에 공유하는 합의를 조용히 진행 중이었다. 

이에 대해 미국 정치권과 언론은 2020년 사우디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2기 건설 사업 입찰을 앞둔 상황에서 사우디가 100억 달러 규모 사업권을 미끼로 트럼프 행정부에 핵무장 묵인을 요구한다는 관측도 나왔다. 특히, 미국의 원자력 기술을 제공받는 국가가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여부에 대한 미국의 동의를 받도록 규정하는 '123협정'의 완화를 노리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편, 사우디의 핵무장 시도가 향후 중동 지역에서의 'G2' 지형도 흔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과 러시아 등이 이란의 핵무기 개발에 긴밀히 관여해온 만큼, 미국 정부는 최우방국인 이스라엘과 사우디 등을 중심으로 이란을 견제해 간접적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도 봉쇄해왔다. 그러나 향후 사우디가 핵무기 개발을 두고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시도한다면, 중동 지역 내 미국의 영향력은 크게 약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빈살만 왕세자 정권을 그대로 좌시할지 여부도 의문이다. 이미 미국 정부는 지난 2018년 사우디 출신 망명 미국 언론인 무함마드 카슈끄지에 대한 살해 혐의를 무마해주며 빈살만 왕세자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사진=EPA·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