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북에 새 제안 검토…합의 땐 올가을 아시아서 3차 북미정상회담 가능성"

2020-07-17 08:53
  • 글자크기 설정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교착 상태에 놓인 북미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기대하면서 북한에 새로운 제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싱크탱크인 국익연구소의 해리 카지아니스 한국담당 국장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잡지 '아메리칸 컨서버티브'에 기고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전에 북한과 합의라는 돌파구를 원한다'는 제목의 글에서 백악관과 국무부 당국자를 인용해 이런 분위기를 전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북한과 협상이 타결된다면 올 가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기차나 비행기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아시아 국가 한 수도에서 3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려 합의문이 서명될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고 전했다. 11월 미국 대선 전 대형 이벤트를 뜻하는 '10월의 서프라이즈'가 3차 북미 정상회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백악관이 김정은 정권이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고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전제 하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백악관이 올봄에 국무부, 정보 당국자들과 함께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다시 유도하고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을 재개하지 않도록 과거 6자회담에 기초한 다자 협상틀을 부활하는 아이디어를 검토했다고 전했다.

백악관의 희망은 일본, '최소한 다른 한 파트너'와 함께 북한의 가장 가까운 동맹인 러시아와 중국이 참여할 경우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고 국무부 소식통을 인용했다.

또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에 이 계획을 완전히 지지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북한을 협상 절차에 복귀시키고 추가 정상회담을 촉발할 수 있다면 시도해볼 의향이 있었다고 전했다.

또다른 백악관 소식통은 북한이 지난달 이 아이디어를 전달받았지만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적어도 현재로서는 '트럼프 팀'이 단념하지 않고 양자 정상회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있다고 한 뒤 사진찍기용이라고 비난받을 수 있는 정상회담은 원하지 않으며, 북한에 무엇을 제공할지를 놓고 토론이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또 2명의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 맞춤형 패키지 아이디어를 소개했다. 북한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핵심 핵생산시설을 해체하고 핵·미사일 실험 모라토리엄을 공식 선언하는 내용이 포함된 패키지 대가로 미국은 제재 완화 패키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 북한의 핵무기 시설 동결은 물론 핵물질과 미사일 생산의 중단을 담보하는 것에도 관심이 있다고 국무부 소식통을 인용했다.

그러면서 백악관이 원하는 것은 북한이 제시할 의향이 있는 각각의 양보에 대해 어떤 대북 제재를 철회할 수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소식통은 "우리는 양보를 위해 양보를 교환할 의향이 있고, 테이블에 많은 새로운 것을 올려놓은 채 진정으로 상상력을 발휘하고 과거에는 안했던 일부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며 "이 일이 작동되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핵무기와 관계없는 북미의 상호 관심사가 있다면서 양측이 하노이 회담에서 관심을 표시한 종전선언을 꼽았다.

트럼프 대선 캠프의 한 인사는 "종전은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 이정표 달성을 돕는 것은 물론 10월처럼 시기가 맞는다면 민주당이 약화시키기 어려운 승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떻게 평화에 반대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백악관 당국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의문이라는 점을 북한이 알고 테이블에 나오지 않을 수 있음을 걱정한다고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했다.

한 국무부 당국자는 "우리는 강력하고 분명하며 북한이 매우 관심있는 제안을 하지만 회답이 없다. 북한과 이런 일들이 꽤 많이 일어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패배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는 북한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북한과 세부 내용을 협상하더라도 미국 측 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를 상대할 북측 카운터파트가 없다는 점도 걱정하고 있다고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했다.

그는 "미국이 러시아, 중국, 파키스탄의 핵과 함께 살 수 있다면 북한과는 왜 안되느냐"며 핵 보유국 인정 가능성까지 거론했지만 어떤 백악관 당국자도 최소한 지금 그 질문까지는 손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