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환경의 악화가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것으로 진단되고 있다. 게오르기에바 신임 IMF 총재는 "2009년 금융위기 때보다 나쁜" 경기침체에 진입한 것으로 진단했다. 지난 30, 40년간 세계경제를 각인했던 ‘세계화’, ‘글로벌 소싱’에 대한 전면적인 재고가 이루어지면서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러한 전면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경제정책에서도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번 코로나 위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경제학자는 하버드대학의 그레고리 맨큐 교수이다. 그는 부시 행정부에서 대통령경제자문회의 의장을 맡았었고, 2009년 금융위기가 발발할 당시에는 ‘부자를 위한 경제학’을 가르친다는 이유로 학생들에게 경제원론 강의를 집단적으로 보이콧당했던 경제학자이다. 이 골수 신자유주의 경제학교수마저 작금의 코로나 국면에서는 모든 미국인에게 1인당 1000달러를 지급할 것을 제안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인당 2000달러 지급할 방침을 발표했다.
코로나 사태에 직면하여 모든 선진국이 전대미문의 팽창정책을 펴는 동안 한국만 ‘재정건전성’을 고수하다가 세계경제의 회복에만 편승하려 한다면 한국경제는 세계경제에서 왕따당할 것이다. 코로나19 퇴치뿐만 아니라 세계경제 회복도 국제 공조에 달려 있다. 더욱이 일부 전문가가 예상하듯이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는 데 2년이 걸린다면 자칫 세계경제 회복국면에 편승할 기력마저 상실할 우려가 있다. 세계경제의 침체가 그 길이와 깊이를 가늠할 수는 없지만, 신속한 재정투입이 효과적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사람의 생명을 담보로 재정건전성의 ‘신조’를 지키려는 신자유주의 안에는 ‘비상경제시국’에 대처할 ‘비상대책’을 강구할 그릇이 없다. 장관은 신조를 지켜야 하는 '선비'가 아니다. 이견이 있다면 자리를 비우든지, 대통령을 설득하려면 장관회의에서 할 일이지 언론플레이하는 것은 더더욱 안 된다.
관련기사
경제정책의 전환을 두고 대통령과 경제부총리 사이에 이견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자리를 비워야 하는 쪽은 당연히 후자이다. 대통령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더 넓은 안목으로 정책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더 큰 이유는 더 간단하다. 국민이 뽑은 사람은 대통령이지 부총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뜻은 국민의 뜻이다. 부총리의 사견에 지나지 않는 '굳은 심지'로 국민의 뜻을 뒤집으려는 오만한 행태가 계속되는 동안에도 생존의 위협을 받는 ‘국민’이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