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만원 현금 지급에 연준 CP 매입까지...미국 '슈퍼부양책' 가동

2020-03-18 17:05
  • 글자크기 설정

美정부, 개인에 1000달러 지급 등 총 1조달러 재정 부양 추진

연준, 제로금리·양적완화 이어 CP 매입까지...비상카드 총동원

일본도 개인에 1만2000엔 이상 현금 지급 논의

금융시장 불안은 계속..."팬데믹으로 침체 불가피"

미국이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시장 충격에 맞서 기업어음(CP)을 사들이고, 개인에게 현금 지급이라는 통화·재정 '쌍끌이' 부양 카드를 꺼냈다. 코로나19로 세계 최대 경제 대국 미국이 침체 위기에 들어서면서 경제주체들이 무너지지 않도록 기업과 개인을 아우르는 '슈퍼 부양책'을 가동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17일(현지시간) 기업들의 자금 융통을 돕기 위해 CP 매입기구(CPFF)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시장에서 CP 유동화가 어려워지자 한시적으로 CPFF를 가동해 기업에 직접 자금을 공급했다. 연준은 지난 15일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까지 파격적으로 인하하고 7000억 달러(약 867조원) 규모로 양적완화를 재개했지만, 시장의 불안이 잦아들지 않자 금융위기 당시 썼던 비상 카드를 총동원하고 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마비에 대응해 1조 달러 규모의 통 큰 재정 부양도 추진하기로 했다. 애초 알려진 8500억 달러에서 규모가 대폭 늘어났다. 현재 의회와 협의 중이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 전체 규모가 1조20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했다. 여기엔 개인 현금 지급, 소상공인 대출, 안정 자금 지원, 세금 납부 유예 등이 포함된다.

눈길을 끄는 건 개인에 대한 현금 지급이다. 앞으로 2주 안에 미국인 1인당 1000달러(약 124만원) 수표를 지급한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이다. 코로나19로 공포심이 극대화되고 경제활동이 얼어붙는 상황에서 직접 돈을 뿌려 불안을 달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소득 기준에 따라 고소득층은 지급 대상에서 제외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로 경기 침체 위협 속에 각국의 현금 살포도 확산될 조짐이다. 일본도 전 국민에게 1만2000엔(약 14만원) 이상 현금 지급이 논의되고 있다. 중국에선 소비 진작을 위해 현금처럼 쓰는 소비쿠폰 발행이 지역별로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대세를 이루면서 시장은 좀처럼 안도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 간판 S&P500지수는 부양책 기대감에 17일 6% 반등했지만, 한국시간 18일 오후 5시 현재 선물지수가 3.7% 떨어지면서 급락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 

내티식스의 에스티 듀크 글로벌 시장 전략 대표는 WSJ를 통해 "시장의 초점은 코로나19 상황과 그 피해에 맞춰져 있다"면서 "시장은 가격에 반영할 경제적 피해가 얼마나 될지 가늠하기 어려워한다. 어떤 이들은 경기침체를 기정사실로 보면서 침체가 얼마나 깊을지를 묻고 있다"고 설명했다. 

18일 아시아 주요 증시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 일제히 약세 마감했다. 장 후반 낙폭을 확대한 코스피지수는 4.9% 폭락해 1591.20에 장을 마쳤다. 일본 닛케이지수도 1.68% 내려 3년 4개월 만에 1만7000포인트가 붕괴됐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8% 미끄러졌다. 범유럽 스톡스600지수는 18일 장초반 2% 가까운 하락세다.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