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대신 집 사는 30대…불안한 부동산 '큰손'

2020-03-06 07:02
  • 글자크기 설정

청약가점제로 당첨 어려워지면서 아파트 매입 나서

1월 서울 아파트의 30대 매입 비중 30.4%로 전체 1위


청약 시장 진입이 막힌 30대 '청포자'(청약포기자)들이 아파트 매매로 눈을 돌리고 있다. 상대적으로 부양 가족 수가 많고 무주택 기간이 긴 40대 이상 연령대와의 가점 경쟁에서 밀리는 탓이다.

전문가들은 무리를 해서라도 아파트 매매시장에 뛰어드는 30대가 계속 늘어나면 현재의 부동산 과열이 식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서울 아파트는 총 1만491건의 거래 신고가 이뤄진 가운데 30대 매입 비중이 30.4%(3188건)로 전체 1위를 차지했다. 이는 40대의 28.9%(3033건)를 뛰어넘는 것이면서 지난해 12월 신고된 30대 거래 비중(28.5%)보다도 높아진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언급된 이후인 지난해 8월부터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13곳이 30대의 아파트 매매건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가 44.5%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마포구(38.5%), 서대문구(37.4%) 등도 인기를 끌었다.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도심 직장과 가까우면서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큰 곳으로 젊은 층이 몰려들었다.

30대가 아파트 매입을 결정한 이유는 간단하다. 청약은 가점이 낮아 새 아파트 당첨이 어렵고, 당첨이 되더라도 서울의 일부 분양 단지는 분양가가 9억원 이상이라 중도금 집단대출을 받을 수 없어 진입이 힘들기 때문이다. 반면, 실수요를 목적으로 구입하는 9억원 이하의 아파트는 대출 규제가 상대적으로 낮다.

문제는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30대들이 서둘러 아파트를 매입하고, 집값은 더 오르는 악순환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30대는 40대 이상과 비교해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들이 많아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가 덜하다. 이는 기존 주택 매수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데 충분한 자금 없이 무리한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면 과도한 부채를 감당해야 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여기에 정부가 집값 상승이 계속될 경우 또다른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힌 가운데 최근 주택구매가 왕성한 30대가 '폭탄 돌리기'의 최대 피해자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30대들이 상한제 시행 예고에 서울 아파트 공급 감소로 향후 집값이 더 뛸 수도 있다는 불안감과 기대감을 동시에 안고 아파트 매입에 나서고 있다"며 "정부의 '집값 옥죄기'가 계속된다면 최악의 경우에는 하락한 집값보다 높은 대출금을 부담하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