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객사 나주 금성관 보물 지정

2019-10-25 09:57
  • 글자크기 설정

[문화재청]

전남 나주 금성관이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전남 나주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호인 ‘나주 금성관’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37호로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나주 금성관은 조선 시대 지방관아의 하나인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임금을 상징한 나무 패)와 궐패(임금을 상징한 나무 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마다 임금에 대한 예(망궐례, 궁궐이 멀리 있어서 직접 궁궐에 나아가서 왕을 배알하지 못할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행하는 유교의례)를 올리거나, 지방에 오는 사신이나 관원을 접대하는 공간이다.

금성관의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금성관중수상량문’과 ‘망화루중수기’ 등 각종 문헌 기록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지금의 자리에 있었고, 현재의 규모와 골격은 1617년 이전에 갖춰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775년과 1885년 중수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군 청사로 사용되다 1976년 보수가 이뤄졌다.

금성관의 중심 건물인 정청(객사 건축물 가운데 중심이 되는 건물)은 조선 시대 객사 건물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팔작지붕(양 측면에 삼각형 모양의 합각면이 있는 지붕)을 하고 있어 맞배지붕을 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객사의 정청과 대비된다. 인근에 있는 나주향교 대성전도 일반적인 향교 대성전의 지붕 형태인 맞배지붕과 달리 팔작지붕을 해 지역 특수성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건물 양식은 주심포(기둥위에 짜 놓은 공포)계 익공(창방과 직교하여 보를 받치며 쇠서모양을 내고 초각한 공포재)식 공포(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를 사용해 일반적이지만 정청 전면에 설치된 월대(대궐의 전각 따위의 앞에 세워 놓은 기단), 건물 내부의 천장과 용문양 단청은 궁궐 건축의 요소를 도입한 것으로 일반적인 객사와 다른 특징이다.

금성관은 나주 읍치(조선 시대 지방 고을의 중심 공간)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원형을 잘 지키고 있고, 규모와 형태 면에서 다른 객사와 뚜렷한 차별성을 띤 격조 높은 건물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건축‧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