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하루 이틀 사이에 환율이 10원 이상 오르내리는 일도 다반사다.
G2 악재에 신흥국인 우리나라 통화가 변동성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보다 더 큰 이유는 위안화와의 동조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기 때문이다.
이 계수는 1에 가까우면 원화와 위안화가 완전 동조화로, -1에 가까우면 동조화 현상이 없는 것으로 본다.
미 달러와 원화의 상관계수가 0.15, 유로화 -0.18, 엔화 -0.89, 호주 달러 0.88인 점을 고려하면 위안화와의 동조현상은 눈에 띄게 두드러진 현상이다.
실제로 5일 원화와 위안화는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달러당 1200원, 7위안을 나란히 넘어섰다.
지난 26일 미국과 중국이 서로 추가 수입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하자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2원 오른 1217.8원에 마감했다. 이날 위안화는 장중 달러당 7.15위안으로 11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동조현상은 2015년 6월 위안화가 절하됐을 때부터 나타났지만, 심화된 것은 지난해 3월 미·중 무역분쟁이 확대된 이후다.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뚜렷해진 셈이다.
지난해 한국의 대(對)중국 무역은 약 2686억 달러로 전체 무역의 23.6%(수출 기준으로는 26.8%, 수입 기준으로는 19.9%)를 차지한다. 양국 간 수출 경제구조가 유사해 앞으로 상관관계가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원화의 약세가 지속될지는 결국 위안화 전망이 핵심"이라며 "위안화의 평가절하 속도 조절와 대중관세 유예에 따른 위안화의 안정세는 원화의 가파른 약세를 제한할 요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