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日은행 자금 21조→18조 감소…보복기조에 금융권도 '비상'

2019-07-07 12:39
  • 글자크기 설정
국내에 풀린 일본계 은행의 자금이 1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계 자금의 상장주식 보유 물량도 12조원을 넘는다.

이미 일본계 은행이 신규 대출을 줄이거나 대출 만기 연장을 거부하는 등의 조치에 나서고 있어 일본의 보복 기조가 이어질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과 미쓰이스미토모(SMBC), 미즈호(MIZUHO), 야마구치(Yamaguchi) 등 일본계 은행의 국내 총여신은 18조2995억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계 은행의 총여신은 지난해 9월 말 21조817억원에서 12월 말 19조5196억원, 올해 3월 말 18조2995억원으로 줄었다. 

그동안 한국 금융시장에서 일본계 은행의 입지는 작지 않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보면 일본계 은행의 총여신은 외국계 은행 국내 지점의 총여신(77조9000억원)의 27.1%를 차지한다. 중국계 은행(34.3%)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일각에서는 일본계 은행의 직·간접적인 여신 규모가 69조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같은 일본계 자금은 국내 은행과 기업, 한국에서 활동하는 일본계 기업들이 활용한다.

일본계 은행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미 한국시장에서 자금 회수를 시작하면서 총여신 규모가 줄어든 가운데, 금융권은 최근 일본의 반도체 수출규제와 관련해 일본계 은행들이 대외 익스포져 축소 동향과 맞물려 한국에서 회전시키는 일본계 자금의 규모나 속도를 줄일 소지가 다분하다고 우려하고 있다.

주식시장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도 12조원에 달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5월 말 현재 일본계 자금이 보유한 상장주식 가치는 12조4710억원으로 집계된다. 이는 전체 외국계 자금의 2.3%로 미국과 영국 등에 이어 9위다.

다만 주식시장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가능성도 작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드물다.

정부는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여타 분야로 확산할 가능성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또한 금융위원회와 금감원, 은행권 등은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점검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일본 현지에서 영업 중인 우리 기업들의 신용 위축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일본계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거나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국내 은행이나 기업의 유동성 상황 역시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5일 서울 종로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일본계 자금 동향이라든가 만기일정, 금융회사들의 움직임은 꾸준히 점검하고 있다"며 "앞으로 추가적으로 일본의 조치가 어떤 것이 있을지 확실히 모르지만 부처별로 가능한 상황에 대해 점검하고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 위원장은 "최악의 경우 한국 기업에 공급된 일본계 자금이 롤오버(만기연장)를 하지 않거나 신규 대출을 끊는다고 해도 대처에는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며 "우리 금융회사의 신인도가 높고 금융시장도 안정돼 있기 때문에 일본이 돈을 안 빌려준다고 해도 얼마든지 다른데서 빌릴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