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4일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이 자동차를 비롯한 타 산업 분야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부품소재로 수출규제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동차 업계로의 수출 규제 확산 가능성은 이미 가시화된 상황이다. 이에 앞서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부품업계의 대응책 마련을 위한 긴급 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문제는 국내 부품업체 사이에 일본 수출 규제에 대응할 만한 체력이 남아있지 않다는 점이다.
실제로 KAMA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100개 부품사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84%로 전년 동기(3.49%) 대비 반토막 났다. 작년 전체 매출액도 71조원으로 2014년(78조원)에 비해 약 10%가 줄었다. 이에 따라 1차 부품업체 수도 831개로 전년보다 20개 쪼그라들었다.
한 부품사 대표는 “규모가 작은 업체일수록 상황이 더 최악으로 몰리고 있다”며 “일본의 수출 규제까지 현실화되면 청산하는 업체들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정만기 회장도 “부품업체 순회 간담회를 해봤더니 많은 대표들이 공장 매각 등을 생각하고 있어 깜짝 놀랐다”며 “2~3차 협력사들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저임금 인상 문제도 또 다른 악재다. 앞서 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 측이 제시한 내년도 최저임금 약 20% 인상안에 대해서는 아예 앞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업계 분위기다.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규제완화 등의 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정 회장은 “일본 수출 규제가 확대될 경우,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 강화 등 민관 협조가 긴밀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동시에 연간 약 1400건(20대 국회)에 달하는 국회의 입법건수를 줄이려는 노력도 함께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기동력·자율차와 관련해 높은 역량을 보유한 부품업체들을 엄선해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이외에도 부품 공급망이 단절되지 않도록 선제적인 조사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