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개발원이 예측한 미래 교육 가상 시나리오를 재구성한 사례다. 미래 사회에서는 보다 복잡해지고 다양해진 공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본격적인 학령인구 감소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인구가 경쟁력’이 되기 위해서는 가장 기초인 교육이 기반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최근 국내에서도 개인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가상현실(VR) 등을 접목한 교실이 늘어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소프트웨어(SW) 선도학교로 선정된 서울 이태원초등학교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정규교과, 방과후 학교, 동아리 활동에서 SW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코딩을 배워 ‘출석 체크 프로그램’, ‘숙제검사 프로그램’ 등 원하는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실제 프로그램으로 구현해낸다. 이태원초등학교는 2011년 스마트러닝 정책연구학교로 선정된 바 있다. 이때부터 교실에 전자칠판, 스마트패드, 무인자동 수업 동영상 카메라 등 첨단 설비가 구비됐다.
지역 학교들도 정보화 기자재 구축에 발 벗고 나섰다. 세종시교육청은 학급이 늘어나는 지역 6개교에 4억3000만원을 투입해 유무선 전산망, 전자칠판, 전자교탁, 태블릿 등을 설치한다. 충북 진천군 역시 올해 관내 9개 초등학교에 전자칠판, 학생용 스마트패드 등 정보통신기술(ICT)이 집약된 스마트교실을 구축한다. 사물인터넷(IOT) 연동으로 양방향 수업을 확장시킬 계획이다.
칸 아카데미는 살만 칸이 개발해 무료로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이다. 태블릿과 인터넷만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다. 태블릿을 이용하면서 하빈초 학생들과 교사의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오간다. 학생 개개인 약점이 데이터로 누적되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교육도 가능하다. 하빈초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한다. 학업성취도가 높아진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학생들은 자신만의 속도와 방법으로 개인 맞춤식 학습이 가능하며, 관심 있는 분야를 스스로 찾아서 공부할 수 있다. 교사 역시 국가 교육과정에 맞춰 제공된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다.
발달심리학의 권위자인 로베르타 골린코프 미 델라웨어대 교수는 그의 저서 ‘최고의 교육’(예담아카이브, 2016)에서 미래 인재의 자질로 콘텐츠(Contencts), 협력(Collaboration), 의사소통(Communication),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적 혁신(Creative Innovation), 자신감(Confidence)를 꼽았다. 국내 교육학자들도 6C를 충족하는 인재를 키워내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낸다.
학교가 지금까지 ‘교육’이라는 행했던 일들은 역사에서 인류가 축적한 지식을 전달하는 일이었다. 지식의 반감기가 점차 짧아지는 속도의 시대에는 지식전달을 넘어서는 교육모델이 필요하다.
김영식 전 한국국제대 총장은 “교육주의에서 스스로 배워야 하는 학습주의로 교육 패러다임이 전환돼야 한다”며 “과거 산업시대에는 획일적이고 대량화된 지식 유통이 유용했지만 미래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창의적이고 새로운 지식만이 유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