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채권은 사회 취약계층 지원, 일자리 창출, 신재생 에너지 개발과 환경 개선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발행하는 특수목적 채권으로, 국내에선 KB국민은행이 지난해 10월 발행한 것이 처음이다.
9일 현재 시중은행, 카드사 등 금융회사들이 그간 발행한 지속가능채권 관리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은행의 대규모 발행이 눈에 띈다. 우리은행은 지난 2월 2천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채권에 이어 대만에서 4억5천만달러 규모의 포모사 지속가능채권도 발행했다.
우리은행은 이번에 지속가능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태양광, 에너지재생, 담수전환, 중소기업 수출입금융 지원 등에 사용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3억달러 규모로 외화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고, 올 1월엔 4억5천만달러 규모로 재차 발행했다. KEB하나은행은 1월 6억달러 규모의 외화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고, 신한은행도 지난달 4억달러 규모로 발행 청약을 마무리했다.
지속가능채권과 비슷한 취지의 '녹색채권'은 친환경 사업, 신재생에너지 등에 사용된다. 이와 함께 '사회적채권'은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중소기업 지원 등에 사용할 목적을 갖는다.
여신전문금융사로서는 처음으로 우리카드가 지난달 1천억원 규모의 사회적채권을 발행했고, 자금을 영세·중소 가맹점에 카드결제대금을 지급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다.
현대캐피탈은 올 2월에 2억5천만스위스프랑 규모로 녹색채권을 발행한 데 이어 지난달엔 3천억원 규모의 원화 채권을 발행했다. 신한은행이 시중은행 가운데 최초로 지난해 8월 2천억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이처럼 금융사들의 잇단 지송가능채권 발행은 전세계적인 지속가능 성장에 기여한다는 명분과 함께 낮은 금리라는 실리도 챙길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