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라인에서 가장 눈에 띈 변화는 통일전선부장이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에서 장금철 조선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으로 전격 교체된 점이다.
그동안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을 진두지휘하며 백악관에도 두 차례나 방문한 김영철 부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인사는 하노이 회담 결렬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대남 민간 교류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장금철 부장의 기용은 남북 민간교류 활성화를 위함이 아니냐는 낙관론도 제기됐으나, 남측 국정원·미측 CIA와 카운터파트인 통일전선부의 '임시 폐업'은 우리 정부의 정보라인에 대한 불신 표시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최선희 제1부상은 이번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러 일정에서도 자신의 직급보다 높은 리용호 외무상을 제치고 김정은 전용차 옆자리에 탑승해, 자신이 실질적인 북한 외교라인의 '실세'임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동안 외교 전면전에 나서 왔던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점도 눈길을 끈다.
그동안 사실상 김정은 위원장의 수행비서 역할을 해왔던 김여정 제1부부장은 러시아 일정에도 동행하지 않고, 복귀 환영식에서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에 김여정 제1부부장이 다시 서기실 내에서 '그림자 수행'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정보를 파악 중이라는 입장이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지난 26일 “김여정 부부장의 동정과 관련해서는 제가 지금 가지고 있는 정보는 없다"며 "조금 더 면밀히 지켜보도록 하겠다"고만 밝혔다.
북한의 이같은 외교라인 재정비는 미국에 보여주기 조치라는 시각도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을 북미대화에서 배제할 것을 요구한 것처럼 자신들도 김영철 제1부부장을 포함한 전체 실무라인을 조정했다는 점을 보여줬다는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