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총재는 지난 26일 주요 은행장들과 모인 금융협의회에서 "2·3·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리지 않으면 올해 성장률을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재는 "정부의 재정투입 효과가 아직 개별 소비 주체에 잘 전달되지 않는 것 같다"며 우려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5%로 낮춰 잡았다. 1분기 -0.3%를 기록한 만큼, 2분기(1.2%)·3분기(0.8%)·4분기(0.9%)에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야만 이를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분기 1.2%의 성장률은 가능성이 작다"며 "재정투입 효과가 일부 회복해도 높아야 1.0%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나금융투자 이미선 연구원은 "1분기 역성장으로 올해 2.5% 성장은 어려워졌다"며 "2분기 1.0%, 3분기와 4분기 0.6∼0.7%씩, 연간 2.1∼2.2%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나 한은의 예상보다 낮은 2% 초반대, 최악의 경우 2%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확산하고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 중 노무라증권은 지난 25일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1.8%로 대폭 낮춰 잡았다. LG경제연구원은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결국 전문가들은 세계 경기의 흐름,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일단 미국의 1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 성장률을 연율로 환산)이 3.2%로 시장 예상치(2.5%)를 훌쩍 웃돈 점은 우호적인 대외 여건으로 평가된다.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적인 재정투입이나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현재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2차 추경'에 선을 그었고, 이 총재도 금리 인하에 거리를 두고 있다.